![]() |
(사진=연합뉴스) |
[알파경제=(고베) 우소연 특파원]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 발동이 일본 수출 기업에 큰 부담을 주고 있다.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에 의하면 미국 시장에서의 판매 전략 수정과 같은 급박한 대응이 불가피해졌다.
일부 기업은 현지 재고를 늘리거나 생산시설을 이전하는 등의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많은 기업들이 명확한 대응책을 결정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일본은행(8301 JP)이 3월 1일 발표한 전국 기업 단기 경제 관측 조사에서는 제조업 중심으로 경기감 악화를 예상하는 업종이 두드러졌다.
마쓰다( 7261 JP)의 게로 가쓰히로 사장은 전동화 전략 설명회에서 "비용을 (관세분의) 25% 낮출 수 있다면 이미 낮추고 있다"고 어려움을 토로했다.
마쓰다는 미국 사업에서 일본이나 멕시코로부터의 수출 비중이 높아, 관세로 인한 비용 증가가 판매 가격에 영향을 미칠 것을 우려하고 있다.
혼다(7267 JP)는 멕시코에서 생산된 차량을 관세 발동 전에 미국으로 이동시키는 조치를 취했으며, 도요타 자동차는 당분간 가격 인상을 하지 않을 방침이다.
트럼프 행정부는 철강·알루미늄 제품에 추가 25% 관세를 부과했으며, 자동차에도 같은 수준의 관세를 계획 중이다.
일본 자동차 공업회의 카타야마 마사노리 회장은 기자회견에서 자조합 차원의 '대응책' 협의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각사가 생산 조정을 할 경우 그 영향과 보완점 확인 단계에 머물러 있다고 전했다.
관세 영향은 공급망 전체에 걸쳐 확산되고 있으며, 이리소전자공업은 중국에서 아키타현으로 일부 생산을 이관하는 결정을 내렸다.
일본철강연맹 이마이 마사 회장은 자동차 관련 대폭적인 관세 부과 가능성을 언급하며 국내 조강 생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경고했다.
부품 제조업체들은 규모 제약으로 인해 국경 간 생산지 변경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상당수 회사가 아직 명확한 방향성을 잡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은행의 조사 결과도 이러한 불안감을 반영하며 경기불황 악화를 예측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성인화 투자 등 설비 투자는 꾸준히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대기업 제조업체들은 전년 대비 플러스 성장률을 유지 중이다.
또한 임금 인상률도 높은 수준을 지속하고 있어 긍정적인 측면도 존재한다.
그러나 미국의 강력한 관세 정책이 세계 경제 둔화를 초래할 경우 기업 실적 악화와 개인 소비 정체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으며 이미 물가 상승 영향으로 개인 소비 지표가 약화되는 모습도 보이고 있다고 닛케이는 우려했다.
알파경제 우소연 특파원(wsy0327@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