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울 송파구 한 상가의 부동산 모습. (사진=연합뉴스) |
[알파경제=이준현 기자] 정부의 초강수 대출 규제 조치 시행 이후 서울 강남권을 중심으로 아파트 매수 심리가 급속히 위축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달 다섯째주(6월 30일 기준) 서울 동남권(강남·서초·송파·강동구)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108.8로 전주 대비 2.4포인트 하락했다.
동남권 매매수급지수는 지난 5월 첫째주 100.8을 기록한 이후 7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가며 지난달 넷째주 111.2까지 올랐으나 처음으로 하락세로 돌아섰다.
매매수급지수는 수요와 공급 비중을 점수화한 것으로 100보다 크면 매수 수요가 매도 수요를 상회한다는 의미다.
서울 전체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도 103.7로 전주(104.2)보다 0.5포인트 떨어져 10주 만에 상승세가 꺾였다. 상승폭이 줄어든 것은 4월 셋째주 이후 처음이다.
이는 지난달 27일 정부가 발표한 '가계부채 관리 강화 방안'의 직접적 영향으로 분석된다.
정부는 수도권과 규제지역 주택담보대출 최대한도를 6억원으로 제한하고 다주택자 신규 주담대를 전면 금지하는 등 전례 없는 고강도 규제를 단행했다.
KB부동산이 발표한 주간아파트시장동향에서도 서울의 매수우위지수가 76.4로 전주(99.3)보다 22.9포인트 급락한 것으로 확인됐다. 권역별로는 강북 14개구가 69.7로 18.9포인트, 강남 11개구가 82.3으로 26.6포인트 각각 하락해 강남권의 매수 심리 위축이 더욱 두드러졌다.
부동산R114 분석에 따르면 이번 대출 규제로 서울 전체 25개 구 중 18개 구에서 대출액이 종전보다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서울 아파트의 약 74%가 시세 6억원 이상으로 대출 규제의 직접 영향을 받는 상황이다.
특히 강남구 아파트의 82%는 시세가 30억원을 넘는 고가 주택으로 최근 강화된 대출 규제로 사실상 대출 접근이 어려워졌다.
권대영 금융위 사무처장은 앞서 "지금은 관계부처와 금융권이 높은 경각심을 가지고 가계부채를 선제적으로 관리해야 할 시기"라며 "모든 금융권이 가계부채 관리 조치를 신속하고 철저하게 추진해 달라"고 밝힌 바 있다.
이번 규제는 28일부터 시행됐으며, 수도권 주택을 구입하며 주담대를 받은 경우 6개월 이내 전입 의무도 부과된다. 생애 최초 주택구입 목적 주담대의 주택담보대출비율(LTV)도 기존 80%에서 70%로 강화됐다.
알파경제 이준현 기자(wtcloud83@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