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김태현 국민연금공단 이사장. (사진=연합뉴스) |
[알파경제=차혜영 기자] 김태현 국민연금공단 이사장은 최근의 모수 개혁으로 인해 국민연금 기금 소진 및 고갈 시점이 달라졌다며, 이에 따라 국내 주식 투자 비중을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김 이사장은 24일 전북 전주시 국민연금공단에서 열린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안상훈 국민의힘 의원의 우려에 대해 이같이 답했다.
안 의원은 10년 후부터 예상되는 보험료 수지 적자로 인해 국민연금 기금이 국내 주식을 매각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고, 이는 국내 주식 시장에 큰 충격을 줄 수 있다고 지적했다.
국민연금의 보험료율이 9%에서 13%로, 소득대체율이 40%에서 43%로 상향 조정되면서 기금 소진 시점이 2071년으로 늦춰졌다.
이에 따라 김 이사장은 국내 주식 투자 비중을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현재 국민연금의 2029년 중기 자산 배분 계획은 국내 주식 비중을 13%까지 축소하고 해외 주식 비중을 42%까지 확대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지난 7월 말 기준, 국민연금의 자산 구성은 국내 주식 15.3%, 해외 주식 35.8%를 차지하고 있다.
김 이사장은 또한 수익률 측면에서도 과거 국내 주식 비중 축소 결정 당시와는 상황이 달라졌다고 언급했다.
그는 과거 한국과 미국의 성장률 격차 축소 및 국내 주식 상승률의 한계 등을 이유로 국내 주식 비중을 줄여왔으나, 앞으로는 기업 지배구조 개선과 경제 성장률 변화 등 국내 주식 시장 전망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알파경제 차혜영 기자(kay33@alpha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