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영섭 KT 대표이사와 조좌진 롯데카드 대표이사가 24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에서 열린 통신·금융 대규모 해킹사고에 대한 청문회에서 위원 질의를 듣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
[알파경제=이준현 기자] 297만명의 대규모 고객정보를 유출한 롯데카드가 내놓은 보상안을 두고 소비자 우롱이라는 비판이 거세지고 있다.
국회 청문회에서는 롯데카드의 보상안이 미흡하다는 질타가 쏟아졌고, 피해자들은 1만명에 육박하는 온라인 카페를 중심으로 집단 소송 채비에 나서는 등 파장이 확산하는 모양새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는 24일 '통신·금융 해킹사태' 관련 청문회를 열고 롯데카드의 사후 대응을 집중적으로 추궁했다.
이 자리에서 이해민 조국혁신당 의원은 "연회비가 보통 2만∼3만원 될 텐데 고객 정보를 너무 작게 생각하는 것 같다"며 "피해자들의 마음까지 고려해 보상안을 면밀히 검토해달라"고 지적했다.
이에 조좌진 롯데카드 대표는 "연회비 면제 등 보상 체계는 정보 유출 자체에 대한 보상이 아니라, 고객들이 카드를 재발급받고 불안해하는 것을 해소하기 위한 차원"이라고 해명했다.
앞서 롯데카드는 지난 18일 해킹 사고를 공지하며 ▲부정사용 발생 시 2차 피해 포함 전액 보상 ▲카드 사용 알림(월 300원) 및 금융피해 보상 서비스 '크레딧 케어'(월 990원) 연말까지 무료 제공 ▲정보유출 고객 대상 최대 10개월 무이자 할부 등을 보상안으로 제시했다.
그러나 부정사용 가능성이 높다고 자체 분류한 28만명(9.4%)에게만 다음 연도 연회비를 면제해주고, 카드 해지 고객은 혜택 대상에서 제외되는 등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비판이 제기됐다.
피해자들의 분노는 집단행동으로 번지고 있다. 정보 유출 피해자들이 집단 소송을 위해 개설한 온라인 카페 회원 수는 24일 기준 1만명에 육박했으며, 이 중 소송 참여 의사를 밝힌 인원은 5800명을 넘어섰다.
신철원 소비자주권시민회의 팀장은 "롯데카드가 고객들 의견을 듣고 선제적 조치를 해야 하는 동시에 금융당국이 해킹 사고에 대한 보상안을 제도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롯데카드는 정보가 유출된 297만명 중 128만명(43%)에 대한 카드 재발급, 비밀번호 변경 등 보호조치를 완료했다고 밝혔다.
알파경제 이준현 기자(wtcloud83@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