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연합뉴스) |
[알파경제=(고베) 우소연 특파원] 후생노동성이 후발약(제네릭 의약품) 메이커의 공급 실적을 평가해 약가에 차등을 두는 제도를 도입할 방침이라고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이 19일 전했다.
이 제도는 빠르면 2025년에 시행되며 2026년 이후부터는 각 제약사의 평가 등급을 공개할 예정이다.
지난 18일 중앙사회보험의료협의회(중의협) 부회에서 후생노동성은 이 같은 내용의 후발약 메이커 평가제도 방안을 제시했다.
이 제도는 안정적인 의약품 공급에 기여한 기업에 유리한 수익 구조를 만들어 업계 재편을 촉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후생노동성은 의약품 제조 및 공급 정보 공개 상황, 타사의 출하 제한 시 대체품 증산 실적 등을 평가 항목으로 설정하고 각 후발약 메이커에 점수를 부여할 계획이다.
평가 결과에 따라 기업들은 A, B, C 세 등급으로 분류된다. ▲A등급: 상위 20% 기업 ▲B등급: A와 C 등급에 해당하지 않는 기업 ▲C등급: 0점 미만 기업이다.
이 제도는 2024년부터 일부 항목을 대상으로 시험 실시되고 있으며, 2025년부터 평가 항목을 확대해 본격적으로 도입될 예정이다.
2025년 약가 개정이 실시될 경우 이 제도가 개정에 반영될 것으로 보인다.
후생노동성은 같은 성분 약품의 시장 점유율이 3% 이하인 품목이 많은 기업의 점수를 낮추는 평가 항목도 도입할 방침이다.
이는 제약사들의 품목 통합과 재편을 유도하기 위한 조치다.
후발약 업계에서는 각 회사가 다수의 품목을 소량씩 취급하고 있어 과당경쟁에 빠지기 쉽다는 지적이 제기돼 왔다. 일본 후생노동성의 시산에 따르면, 현재 A등급은 41개사, B등급은 50개사, C등급은 95개사로 분류된다.
일본 내에서는 약 4년간 후발약을 중심으로 의약품 공급 불안정 상태가 지속되고 있어 일본 후생노동성은 이 제도를 통해 안정적인 공급에 기여하는 기업을 우대함으로써 중소기업이 다수를 차지하는 후발약 업계의 재편을 촉진하고자 한다.
이 정책은 의약품의 안정적 공급과 업계 구조 개선이라는 두 가지 목표를 동시에 추구하고 있다.
알파경제 우소연 특파원(wsy0327@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