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연합뉴스) |
[알파경제=(고베) 우소연 특파원] 도쿄증권거래소는 상장 기업에 대해 투자자를 위한 홍보(IR) 체제의 정비를 의무화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이 10일 전했다.
이 계획은 '기업 행동 규범'에 포함되어 올 여름부터 시행될 예정이다.
이로 인해 기업들은 IR 담당 임원이나 부서를 두어야 하며, 설명회 및 자료의 충실도를 높여 중장기 주가 상승을 목표로 하는 경영 방침을 확립해야 한다.
새로운 규칙은 기업 행동 규범의 '준수해야 할 사항'으로 추가되며, 퍼블릭 코멘트를 시작으로 7월 시행이 예상된다.
그러나 일부 기업에서는 이를 부담으로 느낄 가능성도 있다.
도쿄증권거래소는 구체적으로 IR 관계를 소관하는 담당 임원과 부서를 두는 것을 염두에 두고 있으며, 이를 통해 정기적인 투자자 설명회를 개최하거나 웹사이트에 IR 자료를 게시하는 등 투자자와의 대화를 장려할 계획이다.
IR 체제의 정비는 프라임 시장의 대기업에게는 일반적이지만, 그로스나 스탠다드 시장의 작은 규모의 기업에서는 소극적인 경우가 많다.
이런 상황에서 도쿄증권거래소의 규범을 위반할 경우 공표 조치나 위약금이 부과될 수 있다.
지난 3월 도쿄증권거래소는 '자본비용과 주가를 의식한 경영'을 요구하며 PBR 개선 계획 공개를 요청했다.
결과적으로 프라임 시장에서는 90% 미만의 기업들이 해당 계획을 공개했으며, 이는 투자자 및 주주 중심 경영이 확산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투자자들은 지속적으로 기업에게 충실한 IR을 요구하고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금융청은 모든 상장기업에 주주총회 전 유가증권 보고서 공개를 요청하고 있다.
해외에서도 IR과 관련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미국에서는 중기 경영 계획을 공표하지 않는 대신 개별 투자자와의 대화를 중시한다는 전문가 의견이 있다.
그러나 직접적인 수익 창출이 어려운 IR에 대해 일부 기업들은 인력 및 자금 부족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미쓰이 스미토모 신탁은행 조사 결과에 따르면 프라임 시장에서 2%, 스탠다드 시장에서 24%의 기업이 IR 활동을 하지 않고 있으며 그중 일부는 필요성을 느끼지 않는다고 답했다.
일부 외식업체 사례에서 보듯 IR 전문 부서가 없는 곳도 있어 재무담당자가 겸임하며 대응하는 경우도 존재한다.
이런 상황 속에서 도쿄증권거래소는 새로운 규정을 통해 상장 기업들 사이에 IR 필요성을 침투시키려 하고 있다고 닛케이는 전했다.
알파경제 우소연 특파원(wsy0327@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