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7 대책 후 한 달, 동남권 집값 상승 조짐 속 정책 효과 '미미'…전문가 "유형별 맞춤 대책 시급"
▲ (출처:알파경제 유튜브) |
[알파경제=영상제작국] 최근 부동산 시장은 6.27 부동산 대책 발표 이후 혼란스러운 양상을 보이고 있다.
6.27 대책 발표 후 한 달이 지난 시점에서 실거래가 신고가 시작되면서 시장의 움직임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한국부동산원의 매매 심리 지수는 하락했지만, 강남, 송파, 성동 등 소위 '핫' 지역에서는 오히려 지수가 상승하는 이례적인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박 부회장은 "송파 지역은 0.43%, 성동구는 0.36%까지 지수가 올랐다"고 밝혔다.
일각에서는 대출 규제 중심의 6.27 대책이 동남권 집값 상승을 억제하지 못하고, 오히려 동부권과 인천, 경기도 지역의 지수 하락을 부추겼다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 박 부회장은 "서초, 강남 등 동남권은 못 잡고 오히려 동부권이나 인천, 경기도 지역은 지수가 확 내려갔다"며 정책의 효과에 의문을 제기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정부는 8월 중 공급 대책을 발표할 예정이다. 신도시 지정, 3기 신도시 활성화, 유휴지 개발 등 다양한 방안이 거론되고 있다. 박 부회장은 "8월 공급책을 내놓겠다는 얘기는 나왔다"며 "억제책과 함께 퇴로를 열어주겠다는 뉘앙스로 들린다"고 전망했다.
한편, 1인 가구 및 노인 가구 증가, 외국인 정주 인구 증가 등 변화하는 주거 트렌드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박 부회장은 "1인 독거 노인 가구 수가 300만으로 늘었고, 외국인은 이미 정주 인구 200만이 넘었다"며 "이러한 변화를 주거 정책에 반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 부회장은 6.27 대책의 부작용으로 전세 시장 위축과 월세 비율 증가를 지적하며, "서민 주거 안정을 위한 전세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그는 "유형별로 주택 대책이 나와줘야 한다"며 "아파트뿐만 아니라 오피스텔, 도시형 생활주택, 연립, 다세대 등 다양한 주거 형태를 고려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알파경제 영상제작국 (press@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