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울 시내 아파트 단지 모습. (사진=연합뉴스) |
[알파경제=김교식 기자] 정부의 6·27 가계부채 관리방안이 시행된 지 한 달이 지나면서 수도권 부동산 시장에서 거래량이 급격히 줄어드는 등 매수심리 위축 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고강도 대출 제한 조치로 집값 과열 양상을 진정시키는 데는 성공했지만, 잠재 수요가 여전히 존재하는 만큼 실효성 있는 공급 확대 방안이 뒤따라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한국부동산원이 27일 발표한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폭은 대책 시행 직전인 6월 넷째 주 0.43%에서 7월 셋째 주 0.16%로 4주 연속 둔화세를 보였다.
6월 28일부터 수도권 주택담보대출 한도가 6억원으로 제한되고 2주택 이상 보유자의 추가 주택구입 대출이 전면 금지되면서 자금 조달 여건이 크게 악화된 것이 주된 요인으로 분석된다.
실제 거래 실적을 보면 시장 위축 현상은 더욱 극명하게 드러난다. 리얼투데이 집계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매 거래량은 대책 시행 전 1만221건에서 시행 후 2506건으로 75.5% 감소했다.
강남 3구의 거래량은 1214건에서 491건으로 65.5% 줄었고, 마포구와 성동구는 각각 88.9%, 90.9%의 감소율을 기록했다. 총 거래금액 역시 13조4100억원에서 2조9000억원으로 78.3% 급감했다.
부동산원의 매매수급지수는 대책 시행 전 104.2에서 7월 셋째 주 100.1로 하락해 수요와 공급 간 균형점에 근접했다. 100을 기준으로 수치가 낮을수록 공급 우위, 높을수록 수요 우위를 의미한다.
KB부동산의 매수우위지수도 6월 30일 99.3에서 7월 21일 52.2로 떨어져 매수 관망세가 뚜렷해졌음을 보여줬다.
정부는 지난 6월 27일 긴급 가계부채 점검회의를 통해 수도권 주담대 한도 6억원 제한, 다주택자 추가 대출 금지, 갭투자용 전세대출 차단 등을 골자로 하는 강화 방안을 발표했다.
권대영 금융위 사무처장은 당시 "전 금융권이 총량목표 감축, 자율관리 조치 확대 시행 등 가계부채 관리 조치를 신속하고 철저하게 추진해달라"고 당부했다.
대책의 즉각적인 효과로 '영끌' 투자를 위한 금융 수단이 대부분 차단되면서 매수 심리가 크게 위축됐다는 평가다.
다만 시장 전문가들은 단기적인 수요 억제 효과에도 불구하고 근본적인 주택 공급 부족 문제가 해결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대출 여건이 개선될 경우 다시 매수 압력이 높아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강남권을 비롯한 선호 지역에서는 가격 조정을 기다리는 잠재 수요가 상당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어, 정부의 추가적인 공급 확대 정책이 관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
금융당국은 이번 조치의 효과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면서 필요시 추가 대책을 검토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알파경제 김교식 기자(ntaro@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