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윤석열 대통령,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사진=연합뉴스) |
[알파경제=유정민 기자]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이 윤석열 대통령을 만나 현대차가 올해 국내 최대 생산 및 수출을 달성할 것을 다짐했다.
9일 현대차그룹에 따르면 윤 대통령은 이날 울산 석유화학복합시설 기공식과 경제인 간담회에 참석한 후 현대차 울산공장을 찾아 자동차 수출 선적부두와 울산5공장 제네시스 생산 라인 등을 둘러봤다.
9일 현대차그룹에 따르면 윤 대통령은 이날 울산 석유화학복합시설 기공식과 경제인 간담회에 참석한 후 현대차 울산공장을 찾아 자동차 수출 선적부두와 울산5공장 제네시스 생산 라인 등을 둘러봤다.
![]() |
(사진=연합뉴스) |
윤 대통령은 현대차그룹의 수출상황을 점검한 뒤 현대차 5공장을 찾아 자동차 산업의 미래 먹거리인 전기차 신공장 건설계획을 들었다.
이 자리에서 현대차는 올해 185만대 생산, 108만대 수출을 목표로 잡은 청사진을 발표했다.
현대차는 지난해 국내에서 여러 대외 변수에도 불구하고 전년대비 생산은 6.9% 증가한 173만2317대, 수출은 9.9% 증가한 100만9025대를 기록한 바 있다.
현대차는 대표적인 국내 생산거점인 울산공장을 내연기관 자동차 시대를 넘어서 '글로벌 미래차 허브'로 육성하기 위한 계획도 밝혔다.
울산공장은 단일 공장 기준으로 세계 최대 규모의 자동차 생산시설로 세계 최초 수소전기차를 양산하며 한국 자동차 산업 역사에 큰 획을 그었다.
지난해에만 프리미엄 브랜드 제네시스를 포함해 내연기관차, 친환경차 등 17개 차종에 걸쳐 총 142만4141대를 생산해 그 중 약 66%인 93만5590대를 해외에 수출하는 등 국가 경제 버팀목으로서의 역할을 해왔다.
현대차는 또한 국내 자동차 산업 미래 생태계 구축 고도화를 위한 다각적인 노력도 병행하겠다고 했다. 지난해 현대자동차그룹은 2030년 국내 전기차 분야에 21조원을 투자하고 글로벌 전기차 생산량의 45%에 달하는 144만대를 국내에서 생산한다는 계획을 밝혔다.
현대차는 국내 전기차 생산 능력 확충뿐만 아니라 미래차 제조 경쟁력 강화를 위한 노후 생산거점의 단계적 재편, 전동화와 제조기술 혁신 등을 고려한 전문인력 중심의 기술직 신규 채용과 육성도 병행 한다는 방침이다.
전동화 가속화 등 자동차 산업 변혁기를 맞아 국내 부품 협력사의 효과적인 미래차 사업 전환을 돕기 위한 방안도 함께 지속적으로 모색하고 있다.
한국 자동차 산업은 몇년간 이어진 코로나19 상황과 글로벌 부품 수급 불안속에서도 꾸준히 성장세를 보여왔다.
현대차는 국내 전기차 생산 능력 확충뿐만 아니라 미래차 제조 경쟁력 강화를 위한 노후 생산거점의 단계적 재편, 전동화와 제조기술 혁신 등을 고려한 전문인력 중심의 기술직 신규 채용과 육성도 병행 한다는 방침이다.
전동화 가속화 등 자동차 산업 변혁기를 맞아 국내 부품 협력사의 효과적인 미래차 사업 전환을 돕기 위한 방안도 함께 지속적으로 모색하고 있다.
한국 자동차 산업은 몇년간 이어진 코로나19 상황과 글로벌 부품 수급 불안속에서도 꾸준히 성장세를 보여왔다.
지난해 대한민국 전체 자동차 수출 총액은 540억6700만달러(71조4000억원)를 기록해 반도체, 석유제품에 이어 가장 높은 실적을 기록했으며, 무역수지에서도 386억9500만달러(51조1000억원)의 흑자를 거뒀다.
올해 2월 자동차 수출액은 전년 대비 47.1% 증가한 56억달러로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다.
![]() |
(사진=연합뉴스) |
알파경제 유정민 (hera20214@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