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 수주 실패와 실적 악화에 따른 자구책 마련…리더십 공백 장기화 우려도 제기
KAI 민영화론 재점화…”주가 상승 민영화 적기”
![]() |
| (사진=연합뉴스) |
[알파경제=김영택 기자]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이 5개월째 대표이사 공백 사태에 빠졌다. 이 시기 실적 부진에 연이은 수주 실패까지 겹치면서 KAI는 비상 경영체제에 돌입했지만, 전혀 방향을 잡지 못하고 있다는 우려다.
특히 정권 교체 시기마다 외풍(外風)에 의해 KAI 수장 교체돼 오면서 민영화론이 재점화하고 있다.
![]() |
| (사진=연합뉴스) |
◇ 임원 성과급 반납, 주 6일 근무시행…경영난 타개 노력
12일 업계에 따르면 KAI는 최근 연이은 사업 수주 실패와 경영 실적 악화에 따라 비상 경영 체제에 돌입했다.
본부장급 이상 임원들을 대상으로 올해 하반기 성과급을 반납하고, 주 6일 근무를 시행하는 등 강도 높은 자구책을 마련했다.
KAI는 지난 3일 사내 공지를 통해 "최근 잇따른 사업 수주 실패로 한국형전투기(KF-X), 소형무장헬기(LAH) 등 대형 체계개발 사업 이후 미래 먹거리 전망이 불투명해졌다"며 "기존 사업의 현안과 리스크가 지속되며 우리의 생존을 위협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회사 전반의 개선 사항을 논의하기 위한 '경영개선위원회'를 구성하고 활동을 시작한다고 전했다.
부문장과 본부장급 임원들로 구성된 경영개선위원회는 매주 일요일 출근해 사내 전반적인 개선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또한, 임원들의 올해 하반기 성과급 반납을 지시했으며, 출장 시 일당 지급 중단 및 항공 등급 하향 조정 등 처우 일부를 변경했다.
KAI는 국내 주요 사업에서 잇따라 수주에 실패했다. 실제로 해군 표적기 연구개발(R&D) 과제, 천리안 위성 5호 개발 사업 등에서 모두 고배를 마셨다.
이런 사업 부진은 KAI의 실적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올해 3분기 매출은 전년 대비 22.6% 감소한 7021억 원을 기록했으며, 영업이익 역시 21.1% 줄어든 602억 원으로 집계됐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현대로템, LIG넥스원 등 다른 방산업체들과 비교하면 초라한 성적표다.
이런 실적 부진의 원인으로 '리더십 공백'의 장기화를 지적하고 있다. 지난 6월 강구영 사장은 사임했고, 5개월간 공백 사태가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KAI 관계자는 알파경제에 “(강구영 사장) 리더십 공백과 수주 부진은 개연성은 크지 않다”면서도 “실적 부진 속 자구노력에 나서면서 어려움을 극복하는데, 힘을 쏟고 있다”고 설명했다.
![]() |
| (사진=연합뉴스) |
◇ KAI 민영화론 재점화…”주가 상승 민영화 적기”
일각에서는 KAI의 민영화론에 대한 목소리가 재점화하고 있다.
정부 지분이 전체의 34.5%에 달하는 구조는 사장 선임 과정에서 정부의 영향력이 크게 작용할 수밖에 없다.
이런 배경 속에서 KAI는 정권 교체 시마다 소위 '낙하산 인사' 논란이 끊이지 않았다.
역대 KAI 사장단 중 내부 출신은 5대 하성용 전 사장이 유일했으며, 초대 임인택 전 사장부터 8대 강구영 전 사장까지 외부 인사들이 회사를 이끌었다.
항공·우주 분야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인물들이 경영을 맡으면서 KAI의 핵심 사업인 전투기 개발 및 방산 수출 업무가 원활하게 추진되지 못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문재인 정부 초기 KAI 사장을 역임한 김조원 전 사장 역시 방위 산업과 무관한 행정고시 출신 공무원이었다.
이런 상황과 관련 허희영 한국항공대 총장은 최근 언론 인터뷰에서 "주인이 없는 기업에서 몇 년마다 바뀌는 경영자에게 장기적인 비전과 전략, 책임 경영을 기대하기는 어렵다"며 "KAI에는 주인이 있어야 한다. 최근 방산주로서 주가가 상승하는 것을 보면 지금이 민영화의 적기"라고 진단했다.
KAI 노동조합 또한 "외풍을 초래할 정치적 인사가 아닌, 현장을 깊이 이해하고 국내외 항공사업을 직접 수행하며 성과를 창출해 온 경험과 전문성을 갖춘 전문경영인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알파경제 김영택 기자(sitory0103@alpha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