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알파경제 유튜브) |
[알파경제=영상제작국] 김성태 기업은행장이 지난 3월, 882억 원 규모의 부당 대출 사태에 대해 쇄신안을 발표하며 사과의 뜻을 밝혔습니다. 당시 김 행장은 외부 인사를 통한 견제와 감시 강화, 그리고 내부통제 시스템 마련을 약속했는데요.
하지만 2개월이 지난 현재, 쇄신 작업은 지지부진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쇄신안의 핵심인 외부 전문가 활용은 아직 미흡한 상황입니다. 쇄신안에는 검사부 내부 고발 담당과 감사자문단에 외부 전문가를 위촉하겠다는 내용이 담겼으나, 감사자문단은 다음 달에야 구성될 예정입니다. 특히 검사부 외부 전문가는 쇄신위원회의 감사 및 준법감시인 업무와의 중복 가능성이 제기되며 영입이 불투명해졌습니다.
내부통제 시스템 구축 역시 더딘 상황입니다. 부당 대출의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된 지점장과 심사역 부부 문제 해결을 위해 영업과 심사 분리 방안이 추진되고 있지만, '승인 여신 점검 조직' 신설은 오는 7월 하반기 조직 개편 때나 가능할 전망입니다. 또한, 부당 대출 재발 방지를 위한 임직원 친인척 정보 데이터베이스(DB) 구축 역시 7월 정기 인사 이후에나 본격적으로 추진될 것으로 보입니다.
김성태 행장의 임기가 내년 1월 2일까지인 점을 감안하면, 7월 조직 개편 이후 남은 기간 동안 쇄신 성과를 얼마나 낼 수 있을지 불투명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일각에서는 김 행장의 임기가 사실상 연말까지인 점을 고려할 때, 쇄신 작업이 제대로 마무리될 수 있을지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제기되고 있습니다.
기업은행 관계자는 "쇄신안 이행을 위해 여러 방면에서 준비 작업을 진행 중"이라며 "외부 전문가 위촉 등 까다로운 절차로 인해 시간이 소요되고 있지만, 행장 임기 내에 모든 절차가 마무리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알파경제 영상제작국 (press@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