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코프로, 문화·예술·교육 지원 공익재단 설립…이동채 회장, 1000억원 출연

인더스트리 / 차혜영 기자 / 2023-12-20 17:50:43
향후 5000억원으로 재원 확대…에코프로 발굴 위한 벤처 투자 계획
에코프로 포항캠퍼스 전경. (사진=에코프로)

 

[알파경제=차혜영 기자] 이동채 전 에코프로 회장을 비롯한 특수관계인들이 1000억원을 출연해 공익재단을 설립한다.


에코프로는 이동채 전 회장이 주요주주로 있는 데이지파트너스의 가족사 지분을 바탕으로 약 1000억원을 출연해 공익재단을 설립하기 위한 행정절차를 밟고 있다고 20일 밝혔다.

공익재단은 설립 초기 1000억원으로 출발할 예정이며, 향후 5000억원으로 규모를 키워 나갈 방침이다.

공익재단은 주로 지역의 문화 예술 인프라 개선으로 시작해 교육으로 지원분야를 확대할 계획이다.

또 공익재단과 별도로 지방 벤처 기업들의 생태계 조성을 위한 펀드도 구상 중이라고 에코프로는 밝혔다.

공익재단 운영에는 향후 에코프로 가족사들도 참여할 것으로 알려졌다. 에코프로는 내년 3월쯤 설립 절차를 마무리하고 하반기부터 본격적인 운영에 나설 계획이다.

◇ 에코프로 “지방 소멸 방지는 기업인의 책무”

에코프로는 낙후된 지역 문화 예술 교육 인프라를 지원할 수 있는 공익재단 설립에 힘을 쏟아 왔다.

이동채 전 회장은 내년 상반기 중으로 공익재단 설립을 구체화하고, 지속가능한 아이템을 선정할 예정이다.

지난 1998년 서초동 10평 사무실에서 출발한 에코프로는 사업의 본거지를 서울이나 수도권이 아닌 충북 오창으로 삼아 지역인재를 고용한 것도 이 같은 계획의 한 일환이다.

지구환경 개선을 위해 공장에서 배출되는 유해가스 저감 촉매 개발을 시작으로 배터리 양극소재로 사업을 확대하며 매출 9조 원, 종업원 3500명의 세계 1위 하이니켈 양극소재 회사로 발돋움했다.

정부는 올해 국가첨단전략산업 이차전지 특화단지로 오창, 포항, 새만금, 울산 등 4곳을 선정한 바 있다.

이 가운데 울산을 제외한 3개 지역은 에코프로의 선제적 투자가 특화단지 선정에 큰 힘이 됐다는 분석이다.

◇ 지역 인프라 지원 통해 제2·제3의 에코프로 발굴

대기업들이 인재난을 내세워 서울 및 수도권을 중심으로 성장해왔지만 에코프로는 이처럼 지방에서 사업을 일으켜 세계적인 기업으로 발돋움했다.

에코프로의 이 같은 발전모델은 지역소멸이 화두가 되고 있는 상황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공익재단 설립은 에코프로 성장모델의 연장선상에서 서울과 수도권에 비해 상대적으로 낙후된 지역의 문화 예술 교육 인프라를 개선하는 걸 목적으로 한다.

지방에서도 서울 등 수도권 수준의 문화 예술을 향유할 수 있는 기반을 구축하겠다는 취지라고 에코프로측은 설명했다.

이동채 전 회장은 평소 지인들에게 “나는 지방에서 고등학교와 대학교를 졸업하고 사업의 본거지를 지역에 두고 지역인재들을 고용해 세계적인 배터리 소재 회사로 발전시켰다”며 “지방 소멸이 가속화되는 상황에서 해야 할 책무가 많다”고 강조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알파경제 차혜영 기자(kay33@alphabiz.co.kr)

주요기사

CJ그룹, 맞춤형 채용 콘텐츠 인기...누적조회수 1,400만회 기록
두산, 지주사 지위 벗었다…로보틱스·에너지 M&A 신호탄되나
GS건설, 교보문고와 함께 입주민 전용 ‘큐레이션 전자도서관' 선보여
소노인터내셔널, 5성급 프리미엄 리조트 ‘소노캄 경주’ 리뉴얼 오픈
LG전자, 사우디 정부와 네옴시티 AI 데이터센터 냉각솔루션 협력 논의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