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안덕근 본부장 (사진=연합뉴스) |
[알파경제=유정민 기자] 방미 중인 산업통상자원부 안덕근 통상교섭본부장이 미국 반도체법 보조금 지원 조건과 관련해 "과도한 경영개입으로 이어져선 안 된다"는 입장을 밝혔다.
안 본부장은 9일(현지시간) 워싱턴DC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반도체보조금 지원공고(NOFO·노포)와 관련해서 기업 불확실성이 심화돼선 안 되고, 과도한 경영개입으로 이어져선 안 되며 이로 인해 (기업들의) 대미 투자 비용이 증가돼선 안 된다는 원칙 하에 앞으로 우리 기업들과 긴밀한 협의하에 노포가 집행돼야 한다는 점을 미 측에 적극 제기했다"고 말했다.
이어 "특히 우리 정부는 노포로 인한 불확실성이 확대되는 것은 우리 기업의 대미 투자와 한미 간 반도체 공급망 협력에 바람직하지 않다는 점을 강조했다"며 "미국 측도 반도체 분야 협력에 있어서 한국이 가장 중요한 파트너 중 하나라는 점을 강조했고 앞으로 반도체법 보조금 신청 절차 진행 과정에서 우리 정부 및 기업들과 긴밀히 협의해 나갈 예정이라는 입장을 밝혔다"고 전했다.
미국은 지난해 8월 527억 달러에 달하는 대규모 반도체 지원법을 제정한 바 있다. 이어 반도체 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세부 지원계획을 발표했다.
이 법에 따르면 미국 정부의 보조금을 받기 위해 기업들은 미국 정부에 기업 재정 여력과 현금 흐름, 고용계획 등 내부 정보를 공개해야 하고, 예상했던 사업 이익을 초과할 경우 미국 정부와 초과분 일부를 공유해야 한다. 또한 사내에 보육 시설을 마련해야 하는 등 까다로운 조건이 잇따랐다.
이와 관련 당국 관계자는 "미국이 제시한 조건들은 불명확한 부분들이 많아 확실성이 없다"라며 "투자를 하는 기업 입장에서는 너무 까다로운 조건들이 매력도를 떨어트릴 수 있다"고 우려를 표했다.
특히 초과이익 환수 부분에서 "반도체 산업이 워낙 변동성이 큰 산업이기 때문에 합리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점에 대해 문제 제기를 하고 충분히 백악관에서도 공감을 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안 본부장은 "미국 상무부가 3월 중으로 가드레일 규정을 발표할 때 작년 하반기부터 진행돼 온 우리 정부 및 업계와의 협의 내용을 충분히 반영해서 우리 기업들의 중국 내 공장 가동에 문제가 생기지 않도록 해 줄 것을 요청했다"며 "가드레일 조항으로 인해서 글로벌 반도체 수급에도 부정적 영향이 있어서는 안 된다는 점도 강조했다"고 말했다.
그는 "미국 측은 가드레일 이슈와 관련해서 앞으로도 우리 측과 긴밀히 소통하고 협의해 나가겠다고 했다"고 덧붙였다.
한편 안 본부장은 방미 기간 마이크 파일 미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국제경제 담당 부보좌관과 미 하원 세입위원회 린다 샌체즈, 빌 패스크렐, 번 뷰캐넌 의원, 존 뉴퍼 미 반도체산업협회(SIA) 회장 등을 만나 반도체법 등과 관련해 논의를 한 것으로 전해졌다.
알파경제 유정민 (hera20214@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