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코스피가 전장보다 50.25포인트(1.60%) 오른 3,198.00에 장을 마친 5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에서 한 딜러가 자리로 향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
[알파경제=김교식 기자] 연방준비제도(Fed) 금리 인하 기대감이 확산되면서 코스피 지수가 이틀 연속 상승세를 기록하며 3200선 목전에서 거래를 마쳤습니다.
5일 코스피는 전 거래일보다 50.25포인트(1.60%) 오른 3198.00에 장을 마쳤습니다.
지수는 3187.15로 시작해 장중 3212.31까지 치솟았으나 마감 무렵 상승폭을 일부 축소했습니다.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2919억원, 947억원을 순매수하며 상승세를 견인했습니다. 반면 개인투자자는 4720억원 규모로 순매도에 나섰습니다.
업종별로는 전기제품(5.36%), 전기장비(4.68%), 사무용전자제품(4.19%), 인터넷과카탈로그소매(3.57%), 화학(3.53%), 조선(3.38%) 등이 강세를 보였습니다.
반면 가구(-2.28%), 레저용장비와제품(-0.96%), 자동차(-0.66%), 음료(-0.62%) 등은 약세였습니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 중에서는 KB금융(3.69%)이 가장 큰 상승폭을 기록했고, LG에너지솔루션(2.93%), 한화에어로스페이스(2.45%), SK하이닉스(2.13%), 두산에너빌리티(0.78%), 삼성전자우(0.35%), 삼성전자(0.29%), 삼성바이오로직스(0.29%), HD현대중공업(0.11%) 순으로 올랐습니다.
현대차(-0.24%)는 유일하게 하락했습니다.
코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14.54포인트(1.85%) 상승한 798.60으로 마감했습니다.
코스닥 시장에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457억원, 256억원을 순매수했으며, 개인은 632억원을 순매도했습니다.
코스닥 시총 상위 종목에서는 에코프로비엠(15.28%)이 가장 큰 상승률을 보였고, 에코프로(8.54%), 에이비엘바이오(5.02%), 레인보우로보틱스(3.82%), 알테오젠(2.78%), 리가켐바이오(2.14%), 파마리서치(1.62%), 펩트론(0.34%) 등이 올랐습니다.
삼천당제약(-1.13%), HLB(-0.63%) 등은 내렸습니다.
그럼 오늘의 특징주를 살펴보겠습니다.
![]() |
에코프로비엠 포항사업장. (사진=연합뉴스) |
에코프로비엠이 2분기 깜짝 실적을 바탕으로 두 자릿수 상승률을 달성했습니다.
에코프로비엠은 전일 종가 대비 1만6500원(15.28%) 급등한 12만4500원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거래 시간 중에는 12만7900원까지 치솟으며 18.42%의 상승률을 기록하기도 했습니다.
이번 주가 급등의 배경에는 시장 기대치를 크게 상회한 2분기 실적이 자리잡고 있습니다. 연결기준으로 집계된 2분기 매출액은 7797억원을 달성했으며, 영업이익은 490억원을 기록했다고 회사 측이 발표했습니다.
전년 동기와 비교할 때 매출액은 3.7% 감소했으나, 영업이익은 무려 1159%나 증가한 수치입니다. 완성차업체들의 신차 라인업 확대와 주력 모델들의 판매 호조가 전기차용 양극재 수요 급증으로 이어진 것이 실적 개선의 핵심 요인으로 분석됩니다.
전동공구 시장과 에너지저장장치(ESS) 부문의 수요 확대, 그리고 인도네시아 현지 투자사업에서 발생한 수익 증가도 어닝 서프라이즈에 기여했다고 회사는 설명했습니다.
![]() |
(사진=SK바이오팜) |
SK바이오팜이 시장 예상을 뛰어넘는 2분기 실적 공개로 주가 상승을 주도했습니다.
SK바이오팜은 전 거래일 대비 1만5300원(15.92%) 오른 11만1400원으로 장을 마쳤습니다.
회사가 공시한 2분기 연결기준 영업이익은 619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37.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증권가 컨센서스인 375억원을 65.1%나 웃도는 수준입니다. 매출액 역시 1763억원으로 31.6% 성장했으며, 당기순이익은 295억원으로 20.2% 늘었습니다.
글로벌 시장에서 입지를 다지고 있는 주력 의약품 '세노바메이트'(미국 시장명 엑스코프리)의 판매량 증가가 실적 향상을 이끈 주요 동력으로 평가됩니다.
해외 파트너사로부터 들어오는 로열티 수익 규모도 확대되면서 수익성 개선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습니다.
알파경제 김교식 기자(ntaro@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