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24일 경북 포항시 남구 포스코 본사 앞에서 열린 포스코 중대재해 규탄 기자회견에서 참가자들이 구호를 외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
[알파경제=이준현 기자] 최근 10년간 포스코 사업장에서 발생한 주요 사망사고로 숨진 노동자 57명 가운데 50명이 하청·외주·계열사 소속인 것으로 집계됐다.
전국금속노동조합 포항지부는 2016년부터 2025년까지 포스코 사업장에서 발생한 54건의 주요 인명사고로 57명이 숨지고 32명이 다쳤다고 24일 밝혔다.
사망자 중 포스코 소속은 7명에 불과했고, 나머지 50명(87.7%)은 하청·외주·계열사 소속이었다.
특히 2016년 사망자 12명, 2018년 사망자 7명, 2022년 사망자 5명, 올해 사망자 5명은 모두 하청·외주·계열사 소속이었다.
올해만 해도 3월 21일 포항제철소 냉연공장에서 포스코 자회사인 포스코PR테크 직원이 수리 작업 중 설비에 끼여 숨졌다.
7월 14일에는 광양제철소에서 배관 철거작업 중 작업자 2명이 추락해 1명이 숨지고 1명이 다쳤다.
지난 20일에는 포항제철소 스테인리스스틸(STS) 4제강공장에서 슬러지(찌꺼기) 청소를 하던 50대 용역업체 직원 2명과 현장에 있던 40대 포스코 직원 1명이 작업 중 발생한 유해가스를 마셔 중태에 빠졌다.
신고받고 출동한 포스코 소방대 방재팀원 3명도 구조 작업 중 유해가스를 마셔 경미한 부상을 당했다.
민주노총 포항지부와 금속노조 포항지부는 이날 포스코 본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지난 20일 발생한 사고와 관련해 가스 측정 장비 지급, 보호구 착용지침 등 최소한 안전조치가 이뤄지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금속노조 포항지부는 "포스코가 소유·가동하는 설비에서 도급사가 작업하는 구조도 문제"라고 덧붙였다.
신명균 금속노조 포항지부장은 "포스코는 사고의 주된 원인으로 지목되는 불법파견을 중단하고 포스코 내 모든 불법파견 노동자를 직접 고용해야 한다"며 "제철소의 노후 설비·배관 등 위험 설비 전면 진단과 구조 개선을 위한 포스코의 구체적인 실행방안을 마련해 공개해야 한다"고 말했다.
알파경제 이준현 기자(wtcloud83@alpha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