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석] 국내 증시 관세와 실적 불확실성 해소로 해석, 추가 상승 여력 유효

인사이드 / 박남숙 기자 / 2025-07-09 07:00:11
(사진=연합뉴스)


[알파경제=박남숙 기자] 최근 지수 상승을 주도했던 대형주를 중심으로 일부 매물 소화가 진행됐다.

 

방산, 원전, 건설주는 최근의 가팔랐던 상승세를 뒤로하고 숨 고르기에 들어간 반면 상대적으로 소외되었던 철강, 2차전지주가 강세를 보이는 등 업종 순환매가 이어졌다.

국내증시는 예상 범위 내의 관세와 삼성전자 실적 발표에 기존 주도주를 중심으로 반등세를 지속했다.


이재원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관세 서한과 삼성전자 실적 모두 비우호적 결과이나 불확실성 해소로 해석했다"고 진단했다.


◇ 미국과의 관세협정 막바지, 산업별로 득실에 따른 반응불가피 


이번 서한을 기점으로 미국 관세정책과 미국과의 관세협상이 막바지 국면에 접어들고 있다. 

 

서한에 관세율을 국가별로 정해 통보했음에도 불구하고 8월 1일까지 시한을 유예해, 지난 4월 2일 상호관세가 발표되고 7월 9일까지 시한을 통보한 과정과 유사하게 최종 협상의 시한이 연장되는 형태가 완성되었기 때문이다.

 

이영원 흥국증권 연구원은 "현재 서한을 통해 관세율을 통보한 대상 국가는 14국이며 이들에 대한 관세율은 지난 4월 2일 최초 부과했던 상호관세율과 대동소이하다"며 "한국의 경우는 25%로 동일하고 일본은 24%에서 25%로 소폭 상향되었는데 이는 협상이 최종 타결된 영국, 베트남과는 다른 형태로, 추후 협상의 과정을 염두에 둔 발표"라고 해석했다.

 

다만 상호관세율 협상과 품목별(산업별) 관세가 별개라는 점을 구체화 한 점은 한국, 일본 등 핵심산업 이슈가 제기된 국가의 입장에서는 협상의 어려움이 될 전망이다. 

 

한국과 일본은 공통적으로 자동차 산업이 관세협상의 핵심 대상이 되고 있으나 이날 서한에서 상호관세와 산업별 관세는 별개(separate from all Sectoral Tariffs)라고 밝히고 있기 때문이다. 

 

이영원 연구원은 "협상의 결과는 국가별로 상이하겠지만 지난 4월에 이어 10%의 보편관세 이상의 높은 상호관세를 적용받은 국가들의 경우 관세 협상에서 획기적으로 낮은 수준을 적용받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며 "한국시장의 경우 자동차를 포함한 주요 산업의 구체적인 득실에 따른 반응이 불가피해 보인다"고 진단했다.

 

(출처=흥국증권)

 

◇ 이번에도 관세 '90일 기한' 연장, 시장은 여전히 낙관적

 

이은택 KB증권 연구원은 "시장은 관세 부과에도 ‘낙관적인 전망’이 다수"라며 "8월 1일이 되면 트럼프는 또 협상 시한을 연장할 것이고, 그러다 결국 합의에 도달할 것으로 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따라서 단기에 증시는 급락하겠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회복할 것이란 전망이다.

 

이은택 연구원은 "감세법안과 미국 증시 신고가, 관세협상 타결, 금리인하 등의 네 가지 선결조치가 나와야 한다"며 "관세 때문에 미국자산이 더 급락한다면, 트럼프의 협상력은 크게 저하될 수밖에 없고 따라서 이를 보완할 조치를 먼저 준비한 뒤 관세를 시행할 것"이라고 판단했다.

 

임정은 KB증권 연구원은 "이번 주는 상호관세 유예 연장 또는 협상 여부에 증시 방향이 결정될 전망"이라며 "단기 과열 우려에 따른 매물 소화 연장 가능성이 남아있으나 정책 기대감과 증시 낙관 전망도 여전해 추가 상승 여력은 유효하다"고 판단했다.

알파경제 박남숙 기자(parkns@alphabiz.co.kr)

주요기사

[분석] 정부 조직 개편안, ‘기후에너지환경부’ 신설…MB 시즌2 우려
[현장] 영풍 “고려아연 경영진, SM 시세조종 사건 연루 의혹 증거 제시” 수사 촉구
[공시분석] 알테오젠 주가, 올해 55.83% 달성…”코스피 이전 주가 더 오른다”
[현장] SKT 해킹에 1347억 과징금 폭탄, KT·LGU+는 자진신고 거부하고 되레 공포 마케팅?
[현장] 포스코, HMM 인수 검토 착수…자문단 꾸려 사업성 분석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