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 연합뉴스 |
[알파경제=임유진 기자] 정부가 중동, 북미, 유럽 등으로 K-콘텐츠 국외 시장을 확장하겠다는 계획을 수립했다.
2027년까지 K-콘텐츠 수출액을 2배로 늘리겠다는 것이다.
최근 주목받는 웹툰이나 K-드라마 등을 발판으로 한국형 플랫폼의 해외 진출을 지원하고 연관 산업이 함께 성장하도록 촉진해 ‘4대 콘텐츠 강국’을 이룬다는 구상이다.
23일 문화체육관광부는 윤석열 대통령이 주재한 제4차 수출전략회의에서 이같은 내용을 포함한 'K-콘텐츠 수출전략'을 발표했다.
이날 회의에서 윤 대통령은 "K-콘텐츠가 세계적인 인기를 얻으면서 수출 규모가 늘어나고 전·후방 연관 효과까지 고려하면 엄청난 경제적 가치를 창출하고 있다"며 "정부, 민간기업, 금융기관 관련 단체들이 팀 코리아라는 원팀으로 뭉쳐야 한다"고 당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K-콘텐츠 수출전략은 이른바 '3E'로 요약 가능하다.
수출 시장 확장(Expansion), 콘텐츠 산업 영역 확대(Extension), K-콘텐츠 프리미엄 효과(Effect) 활용 등이다.
정부는 우선 중동, 유럽, 북미 등 K-콘텐츠가 상대적으로 덜 활성화된 지역을 집중적으로 공략해 시장을 확대하기로 했다.
현재 K-콘텐츠 수출은 중국·대만·홍콩이 전체의 36%, 일본이 15.4% 정도를 차지한다.
중화권과 일본에 절반 넘게 의지하는 것이다.
그러나 북미는 13.3%, 유럽은 10.9% 수준이고 중동을 포함한 여타 지역은 5.8%에 그치고 있다.
정부는 이를 위해 올해 미국과 영국에서 K-콘텐츠 엑스포를 개최하는 등 국외 시장에서 문화 상품을 노출할 기회를 확대하기로 했다.
미국 뉴욕, 영국 런던, 독일 프랑크푸르트, 인도 뉴델리, 멕시코 멕시코시티에 국외 콘텐츠 거점을 신설하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이에 거점은 현행 9개국 10개소에서 13개국 15개소로 늘어난다.
정부는 또 북미·유럽 시장에서 인기 있는 콘솔 게임을 육성하도록 올해 30개 사에 90억원을 지원하는 등 특화된 전략으로 대응하기로 했다.
현지 언어와 문화적 배경을 고려한 맞춤형 콘텐츠를 보급하고 K-팝 공연 등 문화 행사로 접점을 만들겠다는 구상이다.
웹툰이나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Over the Top) 등 플랫폼 산업과 결부된 분야를 지원해 K-콘텐츠의 산업 영역 확대를 시도하기로 했다.
정부는 또 국내 웹툰 플랫폼 기업의 해외 진출을 촉진해 이들이 구축한 플랫폼을 통해 K-웹툰이 국제 수요를 지속해서 창출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웹툰이나 웹소설을 기반으로 한 영화, 드라마, 게임을 제작해 원천 지적재산(IP)을 2차 활용도 할 수 있도록 박람회를 개최하는 등 지원하겠다는 것이다.
국내 제작사가 국내 OTT나 글로벌 OTT와 전략적 제휴 관계를 맺어 수출을 확대하는 협력 모델을 만든다.
중소 제작사가 콘텐츠 흥행의 과실을 누릴 수 있도록 제작사와 플랫폼이 IP를 공동으로 보유하는 것을 조건으로 하는 'OTT 특화 제작 지원' 사업에 올해 454억원을 투입한다.
이에 정부는 “K-콘텐츠의 성장이 연관 산업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끼칠 것” 내다보고 있다.
알파경제 임유진 (qrqr@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