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연합뉴스) |
[알파경제=박남숙 기자] 서울 아파트에 월세로 사는 임차인의 절반가량이 매달 100만 원이 넘는 월세를 지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대차 시장에서 전세 대신 월세 거래가 많아지는 ‘전세의 월세화’ 현상이 가속화되면서 월세 가격도 상승했다는 해석이다.
24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시스템에 따르면, 올해 1월 1일부터 9월 23일까지 등록된 서울 월세 거래는 총 4만5439건으로, 전체 임대차 계약의 약 46%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월세가 100만원 이상인 거래는 2만1462건으로, 전체 월세의 47.2%를 차지해 절반에 육박했다.
작년 한 해 월세 100만원 이상인 거래가 전체 월세의 39% 수준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10%포인트 이상 늘었다.
특히 월 500만 원 이상 초고액 월세 계약은 전체 거래의 2%를 차지했다.
100만원 이상 거래가 가장 많았던 지역은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구)였다. 강남(12.4%)·서초(10.1%)·송파 1935건(9.0%) 순으로 많았다.
올해 이날까지 가장 높은 월세 가격을 기록한 곳은 성동구 성수동 갤러리아포레 전용 241㎡로, 보증금 1억원, 월세 4000만원에 계약됐다.
전문가들은 전세 사기 여파로 월세 거래 선호가 점차 많아지고 지난 6·27 대출 규제로 세입자들의 전세 자금 조달 문턱까지 높아지며 월세를 선택하는 비율이 늘어나 가격도 덩달아 오르고 있는 영향이라고 분석했다.
집주인들 역시 전세보다 세입자 회전이 빠른 월세나 반전세를 선호하는 경향이 늘고 있다.
알파경제 박남숙 기자(parkns@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