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소액결제 해킹 피해자 125명으로 확대…피해액 8000만원 넘어

인더스트리 / 이준현 기자 / 2025-09-10 14:01:48
kt 판매점 모습. (사진=연합뉴스)

 

[알파경제=이준현 기자] 경기 광명과 서울 금천구 등 수도권에서 발생한 KT 소액결제 해킹 피해자가 125명으로 늘어났다.

경기남부경찰청 사이버수사대는 전날 오후 6시 기준 KT 소액결제 피해 사례가 총 124건(125명)이며, 피해액은 8060만원에 달한다고 10일 밝혔다.

지역별로는 광명경찰서 74건(4730만원), 금천경찰서 45건(2850만원), 부천 소사경찰서 6건(480만원) 등이다. 지난 5일 집계와 비교해 피해 건수는 50건, 피해액은 3480만원 증가했다.

경기남부경찰청은 각 경찰서에서 발생한 사건을 넘겨받아 병합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 현재까지 광명경찰서 발생 사건 61건에 대한 이첩이 완료됐으며, 나머지 사건도 순차적으로 이첩될 예정이다.

KT 자체 조사 결과 해커들이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는 가상의 '유령기지국'을 만들어 이용자의 개인정보를 탈취한 것으로 드러났다. KT가 광명 일대 휴대전화 접속 내역을 조사한 결과, 통화 이력에서는 기지국 6개가 확인됐지만 실제 KT가 관리하는 기지국은 5개뿐이었다.

이용자가 이 가상 기지국이 있는 지역으로 들어오면 자동으로 휴대전화가 접속되면서 가입자 식별번호 등 주요 개인정보가 해킹당하는 방식이다.

지난달 27일부터 최근까지 주로 새벽 시간대에 KT 이용자들로부터 무단으로 모바일 상품권 구매나 교통카드 충전 등 소액결제가 진행됐다는 신고가 잇따라 접수됐다. 초기에는 광명과 서울 서남부 지역에 집중됐으나 부천과 인천에서도 비슷한 유형의 피해가 확인됐다.

KT는 8일 오후 7시 16분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 침해사고를 신고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9일 정보보호네트워크정책관을 단장으로 하는 민관합동조사단을 구성해 조사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조사단은 과기정통부 2명, KISA 4명, 민간 위원 6명 등 총 12명으로 구성됐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KT 조사 결과 미상의 기지국이 발견된 것은 사실"이라며 "이번 소액결제가 이 가상 기지국을 이용해 이뤄진 것인지 확인 중"이라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이런 방식의 해킹은 가상 기지국만 다른 곳으로 옮기면 되기 때문에 추가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경찰은 중계기 해킹 가능성 등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수사를 진행하고 있으며, 인천 등에서 발생한 피해에 대한 유사성 검토도 병행하고 있다.

 

알파경제 이준현 기자(wtcloud83@alphabiz.co.kr)

주요기사

"9·7 부동산 대책, 중견 건설주에 기회"
HD현대중 노조, 40m 크레인 고공 농성…사측과 충돌해 조합원 부상
시민단체 "KT 소액결제 사태…피해 전수조사해야"
모두투어 올 상반기 영업익 급증, 4분기 실적 기대
대우건설, 5일 만에 또 사망사고…시흥 아파트 현장서 50대 근로자 사망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