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석포제련소 (사진= 연합뉴스 제공) |
[알파경제=문선정 기자] 경상북도 봉화군, 석포면, 인근 강원도 태백시 주민들로 구성된 봉화·태백·석포 생존권 사수 공동투쟁위원회(이하 공투위)는 지난 13일 유엔(UN) 기업과 인권 실무그룹의 피차몬 여판통 위원장에게 이메일 서한을 전달하며 석포제련소 관련 논의에서 실제 주민들의 목소리를 공정하게 경청해 줄 것을 요청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는 앞서 지난 1일 일부 환경단체와 변호사들이 여판통 위원장과 함께 석포면을 방문해 주민 간담회를 가졌다고 밝힌 데 대한 반박이다.
공투위는 성명서를 통해 "당시 위원장께서 만난 환경단체 회원들은 석포는 물론이고, 인근에 사는 주민들이 전혀 아니다. 저희가 진짜 석포와 인근에 사는 주민들"이라고 강조했으며, "환경단체는 이기주의이고 국제적 망신"이라고 비판했다.
공투위는 해당 간담회가 실제 석포면에 사는 주민들이 배제된 상태에서 진행됐다고 지적했다. 환경단체는 간담회 전날 정식 공문이 아닌 메신저 메시지로만 석포면 사무소에 회의실 사용을 요청했고, 주민 대상 공식 안내나 참여 요청도 없었다는 것이다.
이들은 "이것은 주민 의견을 배제한 채, 일방적 주장을 전체 민심처럼 포장하여 UN에 전달하려는 시도로 비친다. 주민들은 이를 민심 왜곡으로 받아들인다"고 설명했다.
제련소의 환경 개선 노력에 대한 성과도 강조됐다. 공투위는 영풍 석포제련소가 환경단체의 낙인찍기와 달리 폐수 외부 무방류 시스템, 오염 확산 방지시설 등에 2025년 9월 기준으로 약 5,200억 원을 투자했다고 밝혔다.
이어 "개선은 지속적이었고 가시적이었다"며 "제련소 상·하류 수질은 환경 기준을 충분히 충족하고 있다. 제련소 앞 강에서 멸종위기 1급 수달의 서식과 더욱 다양한 어종이 확인되는 등 현장의 변화를 주민들은 몸으로 체감하고 있다"고 전했다.
또한 공투위는 최근 석포·봉화·태백 주민 약 500여 명이 석포면에서 영풍 석포제련소 이전 논의 철회를 촉구하는 집회를 열었다고 언급했다. 이 집회는 "일터와 삶터, 그리고 아이들의 내일을 지키고자 한 목소리로 외친 것"이라며 "이것이 석포제련소가 있는 석포면에 사는 실제 주민들의 목소리"라고 밝혔다.
공투위는 UN 실무그룹에게 "저희의 간절한 요청은 공정하고 균형 있는 경청"이라며, "특정 환경단체의 일방 주장만이 아니라, 이곳에 사는 실제 주민들의 절박한 목소리에도 귀 기울이고 제련소의 환경 개선 상황, 지역 경제와 고용에 미치는 영향, 주민 생존권을 함께 살펴봐 달라"고 요청했다.
알파경제 문선정 기자(press@alpha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