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윤석열 대통령이 3일 오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긴급 대국민 특별 담화를 하고 있다. (사진=대통령실) |
[알파경제=김교식 기자] 비상계엄 특별수사단이 '12·3 비상계엄 사태' 수사와 관련해 11일 용산 대통령실에 대한 첫 강제수사에 착수했다.
경찰 국가수사본부 특별수사단은 이날 대통령실과 경찰청, 서울지방경찰청, 국회경비대를 대상으로 압수수색에 나섰다고 밝혔다.
대통령실에는 18명의 수사관을 투입했으며, 압수수색영장에는 윤석열 대통령이 피의자로 적시됐다.
대통령 집무실과 국무회의실, 경호처 등이 수색 대상이다.
수사관들은 오전 11시 45분께 대통령실 민원실에 도착해 출입 절차를 밟았다.
앞서 특별수사단은 이날 새벽 3시 49분 조지호 경찰청장과 김봉식 서울경찰청장을 내란 혐의로 긴급 체포했다.
경찰 수뇌부가 동시에 체포된 것은 유례없는 일이다.
수사단은 윤 대통령을 이번 내란의 총책임자로 보고 있다. 계엄군 수뇌부의 발언을 통해 윤 대통령이 비상계엄 전 과정을 직접 지휘한 정황이 드러났다는 것이다.
윤 대통령에게는 내란과 군형법상 반란 등의 혐의가 적용됐다. 대통령을 겨냥한 강제수사는 이번이 처음이다.
수사단은 계엄 당시 열린 국무회의 기록을 확보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특히 형법상 내란죄가 사형까지 가능한 중범죄라는 점에서 향후 대통령 신병 확보 가능성까지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경찰은 현재 특별수사단에 150여 명의 수사관을 배치했다. 서울경찰청 수사부장을 비롯해 국가수사본부 중대범죄수사과, 서울청 광역수사단 소속 수사관들이 투입됐으며, 계엄 포고령 검토를 위한 법률팀도 구성했다.
알파경제 김교식 기자(ntaro@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