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진=연합뉴스) |
[알파경제=김혜실 기자] KB, 신한, 하나, 우리 4대 금융지주가 올해 3분기까지 이자 및 수수료 수익으로 사상 최대 규모인 15조 원 이상의 이익을 달성했지만, 동시에 부실 대출 규모 역시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9일 금융지주들이 공개한 팩트북에 따르면, 3분기 말(9월 말) 기준 4대 금융지주의 요주의 여신(연체 1~3개월) 합계는 18조 3490억 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우리금융지주 출범 이후 4대 금융지주 합산 통계가 시작된 2019년 1분기 이래 최대 규모다.
요주의 단계보다 부실이 더 심각한 고정이하 여신(NPL, 연체 3개월 이상) 역시 9조 2,682억 원에 달했다.
이는 4대 금융지주 출범 이래 가장 많았던 2분기보다는 소폭 감소했으나, 작년 3분기 말 대비 18% 증가한 수치로 역대급 규모를 유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전체 여신 중 NPL 비율(단순 평균 0.72%)은 최고 기록이었던 올해 1분기 말(0.74%) 및 2분기 말(0.74%)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 |
| (사진=연합뉴스) |
반면, 부실 감당 능력을 보여주는 4대 금융지주의 단순 평균 NPL 커버리지 비율(대손충당금 잔액/고정이하 여신)은 123.1%로 역대 최저 수준까지 하락했다.
이는 작년 3분기 말(141.6%) 대비 18.5%포인트(p) 급락한 수치다.
주요 금융지주의 건전성 지표 악화는 막대한 충당금 적립과 활발한 부실 채권 상·매각 노력에도 불구하고 부실 확대를 막지 못했다는 점에서 더욱 심각하게 받아들여진다.
올해 1~3분기 4대 금융지주는 총 5조 6,296억 원의 충당금을 쌓았는데, 이는 2019년 이후 3분기 누적 기준 최대 규모다.
또한, 4대 은행은 같은 기간 4조 6,461억 원어치의 부실 채권을 상·매각했으며, 이는 2018년 이후 3분기 누적 기준 최대 기록이다.
금융권에서는 이런 부실 확대의 주요 원인으로 수년간 지속된 한국 경제의 저조한 성장과 높은 금리 수준을 지목하고 있다.
알파경제 김혜실 기자(kimhs211@alpha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