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정사업본부, 6년간 5만건 해킹 표적됐다…전체 기관 93.9% 차지

파이낸스 / 김교식 기자 / 2025-09-28 12:39:19
(사진=연합뉴스)

 

[알파경제=김교식 기자] 우정사업본부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기관 중 사이버 공격의 주요 표적으로 지목됐습니다.


지난 2020년부터 올해 8월 말까지 우정사업본부에 탐지된 사이버 침해 시도는 총 5만 2656건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를 포함한 전체 64개 소속·산하기관에서 발생한 침해 시도 5만 676건의 93.9%에 해당하는 수치입니다.

기관별로는 주무 기관인 우정사업본부가 3만 4757건으로 가장 많은 공격을 받았습니다.

뒤이어 우체국시설관리단 8078건, 우체국물류지원단 8078건, 우체국금융개발원 1454건, 한국우편사업진흥원 2959건 순으로 집계됐습니다.

침해 유형별로는 자료 훼손 및 유출 시도가 4만 2천여 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단순 침입 시도도 1만여 건에 달했습니다.

이런 수치는 기관이 자체적으로 파악한 시도 건수일 뿐, 실제 정보 유출이나 서비스 장애로 이어진 사례는 아닙니다.

우정사업본부 및 산하 기관이 주요 공격 대상이 되는 이유는 다른 연구·정책 기관에 비해 개인 정보, 금융 정보, 물류 정보 등 민감한 데이터를 대규모로 보유하고 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제기됩니다.

이에 따라 침해사고 발생에 대비하여 산하 기관들도 개인정보 손해배상책임보험에 가입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현행법상 연간 매출액 1500억 원 이상이거나 5만 명 이상의 정보 주체에 대해 민감 정보 또는 고유 식별 정보를 처리하는 기관, 또는 100만 명 이상의 정보 주체에 관해 개인 정보를 처리하는 기관은 의무적으로 보험에 가입해야 합니다.

우정사업본부는 의무 가입 대상에 해당하여 보험에 가입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우체국시설관리단, 우체국물류지원단, 우체국금융개발원 등 의무 가입 대상이 아닌 기관 중에서는 한국우편사업진흥원만이 보험에 가입한 상태입니다.

 

알파경제 김교식 기자(ntaro@alphabiz.co.kr)

주요기사

개인 투자자 '국장' 이탈 가속화…17조원 넘는 자금 해외 증시로 향했나
40대 평균 가계대출 1억2000만원 돌파…취약차주 증가세도 '뚜렷'
국정자원 화재로 정부 업무시스템 647개 마비
국정자원 화재에 금융권 '비상'…금융당국, 위기상황대응본부 설치
국정자원 화재, KB국민·신한·하나은행 서비스 마비…"주말 고객들 불편"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