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알파경제 유튜브) |
[알파경제=영상제작국] 백악관이 현지시간으로 26일 발표한 외국산 자동차에 대한 25% 관세 부과 정책은 엔진을 비롯한 주요 자동차 부품에도 적용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번 조치는 수입 승용차와 경트럭뿐 아니라 엔진, 변속기, 파워트레인 부품 및 전기 부품 등 다양한 핵심 부품에까지 높은 관세를 적용하겠다는 것입니다.
백악관은 4월 2일부터 발효되는 이 조치의 세부 사항을 담은 팩트시트를 통해 이를 확인했습니다. 또한 필요할 경우 이런 부품 관련 관세 대상의 확대가 가능하다는 점도 강조했습니다.
미국·멕시코·캐나다 무역협정(USMCA)에 따라 미국으로 수입되는 차량의 경우에는 비미국산 요소에 대해서만 관세 25%가 적용되도록 하는 시스템이 마련될 예정입니다.
USMCA 규정을 준수하는 자동차 부품의 경우 미국 상무부 장관과 관세국경보호국(CBP)의 협의를 통해 새로운 프로세스가 수립될 때까지는 무관세 상태를 유지할 계획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Newsmax와의 언론 인터뷰에서 “아마 상호관세보다 유연하게 적용할 것”이라며, “만약 진짜 상호관세로 간다면 사람들에게 매우 힘들어질 수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트럼프의 경제팀은 상호관세 조치를 준비하면서 각 교역국이 부과하는 세금과 규제를 포함한 장벽을 기준으로 관세율을 산정 중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현대차그룹이 올해부터 4년간 미국에 210억 달러(약 31조원)를 투자하고 연간 120만대 현지 생산 체제를 구축한다고 합니다. <2025년 3월 27일자 “모빌리티의 미래를 실현하다”...현대차, 美 메타플랜트 준공 참고기사>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은 지난 24일 워싱턴DC 백악관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마이크 존슨 미 연방의회 하원의장, 제프 랜드리 루이지애나 주지사 등이 참석한 가운데 이 같은 내용의 전략적 대미 투자 계획을 발표했다고 합니다.
알파경제 영상제작국 (press@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