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브 경영진 직장 내 괴롭힘 혐의, 고용부 무혐의 결론

스포테인먼트 / 이고은 기자 / 2025-01-13 11:01:12
어도어 전 임원 고용부 신고 개입 정황 포착, 재조사 방해 의혹 제기

(사진= 연합뉴스)

 

[알파경제=이고은 기자] 민희진 전 어도어 대표가 사내 성희롱 사건의 은폐를 시도하고 재조사를 방해했다는 의혹이 새롭게 제기됐다. 이는 최근 공개된 텔레그램 대화 내용을 통해 드러난 것으로, 엔터테인먼트 업계에 파문을 일으키고 있다.

 

조선비즈의 13일 보도에 따르면, 민 전 대표는 직장 내 괴롭힘 및 성희롱 의혹을 받고 있는 L 전 부대표의 고용노동부 신고에 깊이 관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단순한 조언을 넘어 사건의 재조사를 방해하려는 시도로 해석될 수 있는 정황이 포착됐다.

 

공개된 텔레그램 대화에서 민 전 대표는 L 전 부대표에게 "직장 내 괴롭힘 신고는 A(피해자) 신고에 대한 맞대응이기도 했고, 둘 다 공정하게 조사하라는 무언의 압박"이라고 조언했다. 이에 L 전 부대표는 신고의 필요성에 동의하며 "효력을 발생시키려면 (회사에) 좀 붙어있어야겠다"고 응답했다.

 

(사진= 연합뉴스)

더욱 주목할 만한 점은 민 전 대표가 L 전 부대표에게 구체적인 행동 지침을 제시한 것이다. "휴가와 병가를 적절히 쓰면서 신고하고 9월만 좀 버텨보라. 오늘 빨리 신고해"라는 민 전 대표의 메시지는 재조사 과정을 의도적으로 지연시키려는 시도로 해석될 수 있다.

 

이번 사건은 앞서 발생한 사내 성희롱 사건의 최초 조사 당시 민 전 대표가 보인 행태와 맥을 같이한다. 당시 민 전 대표는 L 전 부대표에게 "A씨를 무고로 역고발 해야 되는 거 아니냐", "인실(인생은 실전이야) X 먹여라" 등의 대응 방법을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사진= 연합뉴스)

 

이러한 정황들이 알려지면서 피해자 A씨는 민 전 대표의 방해 행위로 인해 공정한 조사가 이루어지지 못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에 어도어의 김주영 신임 대표이사는 지난해 9월 재조사와 함께 재발 방지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한편, 고용노동부는 L 전 부대표가 제기한 하이브의 직장 내 괴롭힘 신고에 대해 "인정되지 않는다"며 행정 종결 처리했다. 이는 민 전 대표와 L 전 부대표의 대응이 실효성을 거두지 못했음을 시사한다.

 

이번 사건은 엔터테인먼트 업계의 불공정한 관행과 권력 남용에 대한 우려를 다시 한 번 불러일으키고 있다. 향후 수사 기관의 철저한 조사와 함께 업계 전반의 자정 노력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알파경제 이고은 기자(star@alphabiz.co.kr)

주요기사

권율, 추성훈 맛집 오픈런 도전
이찬원, 10월 정규 2집으로 컴백 예고
차은우, 극장판 VR 콘서트 9월 개봉
박진영, 대중문화교류위원회 위원장 임명
AI 기반 공포 영화 '경찰서에 귀신이 있다' 개봉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