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한강벨트 20만 채 등 6년간 아파트 31만채 공급"

파이낸스 / 박남숙 기자 / 2025-09-29 11:09:01
(사진=연합뉴스)

 

[알파경제=박남숙 기자] 서울시가 2031년까지 31만 가구 착공에 나선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29일 정비사업 기간을 최대 12년까지 줄여 2031년까지 31만 호를 착공하겠다고 밝혔다. 

 

이 중 63.8%인 19만8천 호를 수요가 많은 '한강 벨트'에 집중한다. 특히 강남3구에 7만5천 호가 공급될 예정이다. 이를 통해 2035년까지 37만7천 호의 주택이 준공될 것으로 서울시는 예상했다.

 

서울시는 구역지정부터 입주까지 기간을 기존 18.5년에서 12년으로 최대 6.5년 단축하고, 2031년까지 한강벨트 19만8천호를 포함해 주택 총 31만호를 착공한다는 목표로 신속통합기획(신통기획) 2.0' 추진 계획을 밝혔다.

앞서 지난 7월 13년으로 단축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는데, 여기서 1년을 더 줄이겠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통합심의 전 진행하던 환경영향평가 초안 검토 회의를 생략해 2개월 이상 걸리는 심의 기간을 줄이기로 했다.

또 사업시행인가와 관리처분 단계에서 중복 확인했던 재개발 임대주택 세입자 자격 조회도 1회로 바꾼다. 조합원 분양 공고 전 시행하던 추정 분담금 검증 절차도 관리처분 단계의 중복 검증을 폐지해 4회에서 3회로 축소한다.

이어 정비구역 내 전체 건축물에 대해 방대하게 작성하던 해체 종합계획서를 간소화하고, 실제 철거가 필요한 구역에만 해체계획서를 작성해 심의를 받도록 했다.


부서 간 협의와 검증 절차도 신속하게 한다는 계획이다. 또 내년 상반기부터는 한국부동산원에서만 진행하던 관리처분 계획 타당성 검증을 SH공사에서도 처리해 사업 진행 속도를 높이기로 했다.


이와 함께, 보상 사각지대에 놓인 세입자에 대한 지원도 강화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이주 속도를 높이겠다는 방안이다.

서울시는 법적 손실 보상에서 제외된 세입자도 이주비용을 보상하기로 했다. 재개발 사업은 사업시행자가 세입자에게 의무적으로 손실 보상을 해야 하지만, 세입자가 바뀌면 보상에서 제외돼 이주 과정에서 갈등이 발생한 데 따른 것이다.

오세훈 시장은 "서울 주택공급 문제 해결의 핵심은 민간 중심의 정비사업, 특히 강남 3구를 비롯한 주요 지역에 충분한 주택을 공급하는 것"이라며 "속도를 획기적으로 높여 서울 전역에 체감할 수 있는 주택 공급과 부동산 시장 안정 효과를 실현하겠다"고 말했다.

알파경제 박남숙 기자(parkns@alphabiz.co.kr)

주요기사

한화리츠, 7700억원 리파이낸싱 완료..."현금흐름 개선"
삼성증권, MTS ‘엠팝’ 전면 개편 “해외주식도 원스톱으로”
하나은행, '대전 D-도약펀드' 천억 출자...지역 혁신성장 동참
​카카오뱅크, 펀드 잔고 1조 돌파... 모바일 투자 시대 열었다
"한국은행, 부동산 안정화 확인 후 금리 인하할 듯"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