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연합뉴스) |
[알파경제=류정민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재임 기간 동안 보편적 관세 부과 가능성이 한국 중소기업의 대미 수출에 심각한 타격을 입힐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지난 19일 중소벤처기업연구원 주최로 열린 '미국 대선결과에 따른 중소기업의 영향 및 대응방안' 세미나에서 산업연구원 김정현 전문연구원이 이같은 전망을 밝혔다.
김 연구원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실행될 경우, 국내 중소기업의 미국 내 제품 가격 상승으로 인해 수요가 감소하거나 현지 생산 제품으로 대체됨으로써 대미 수출이 크게 줄어들 것"이라고 진단했다.
해당 정책으로 인해 우리나라 중소기업의 대미수출액은 12.6%에서 최대 21.6%까지 감축될 것으로 전망했다.
분야별로는 기타수송기계 업종이 -37.8%에서 -59.2%로 가장 큰 폭의 감소를 보일 것으로 예상되며, 그 외 다른 주요 제조 업종 또한 두 자릿수 감소율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석유정제와 전지 부문은 소폭 증가할 것으로 나타났다.
김 연구원은 "비록 일부 품목에서는 수출 경쟁력이 상승할 여지가 있으나, 전반적인 시장 수요 축소 및 현지 제품 우선 구매 정책에 따른 영향을 고려했을 때 전체적인 대미 수출 감소가 불가피하다"고 설명했다.
이와 같은 추세는 중소기업 뿐만 아니라 그들에게 납품하는 대기업에게도 생산 감축을 초래하여 국내 산업 전반이 영향을 받게 될 것임을 시사한다.
그는 또한 트럼프 행정부의 보편적 관세 도입에 따른 위협을 회피하기 위해 국내 기업들이 생산 기반을 해외로 이전할 가능성에 주목하면서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방안 마련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알파경제 류정민 기자(star@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