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케이뱅크 |
[알파경제=류정민 기자] 케이뱅크는 최근 금융당국의 지시에 따라 암호화폐 거래소 업비트와의 제휴 종료를 대비한 '비상계획'을 금융감독원에 제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비상계획' 제출은 지난해 국정감사에서 제기된 예치금 유출에 대한 우려를 해소하기 위한 조치다.
케이뱅크의 업비트 의존도는 상당히 높으며, 올해 1분기 기준으로 전체 수신액 중 약 20%가 업비트를 통해 들어온 자금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기존 제휴 계약이 오는 10월 만료될 예정이라, 은행권에서는 일시적인 자금 유출로 인한 '뱅크런' 발생 가능성이 지적됐다.
이에 대해 금융감독원은 케이뱅크의 업비트 관련 예금 및 운용 현황을 면밀히 감시하고 있으며, 제휴 종료 시나리오에 대한 대응책 마련을 주문했다.
케이뱅크 관계자는 "뱅크런 발생 가능성은 어느 은행이나 마찬가지"라며 "업비트 자금은 전액 즉시 현금화 가능한 자산으로 별도 관리하며, 극단적인 자금 유출에도 문제 없도록 보수적으로 관리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투자자들이 불안해 하지 않도록 유동성 관리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케이뱅크는 이미 2023년 말부터 유동성커버리지비율(LCR) 산정 시 업비트 수신 전액 유출 가정을 통해 선제적으로 대응해왔다.
지난해 LCR은 한때 147.66%까지 낮아졌으나 이후 분기별로 꾸준히 상승해 규제 기준인 100%를 크게 상회하고 있다.
향후 케이뱅크가 기업공개(IPO)를 추진할 경우 금융감독원은 증권신고서 심사를 통해 자금 편중도를 포함한 투자 위험 요소가 충분히 기재되었는지를 면밀히 검토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알파경제 류정민 기자(hera20214@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