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콜대원'에 이어 '포타겔'까지 품질 논란...뿔난 식약처장, ‘대원제약’ 겨냥(?)

인더스트리 / 이준현 기자 / 2023-11-30 08:43:26

[알파경제=이준현 기자]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이 일명 ‘짜 먹는 약’으로 불리는 포(包) 타입 의약품을 생산하는 제약사를 대상으로 고강도 조사에 나서겠다는 방침이다.  

 

오유경 식품의약품안전처 처장이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식품의약품안전처)


오유경 식약처장은 지난 28일 열린 기자 간담회에서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포 타입 의약품에 대해 “식약처가 안전 관리에 사각지대가 있거나, 주의해야 할 것 같은 제형에 대해서는 선제적으로 무작위 조사를 하겠다"면서 "업계에 경각심을 불러일으키는 역할을 하려 한다"고 밝혔다.

오유경 식약처장이 이 같은 강도 높은 발언을 쏟아낸 건 포 타입 의약품의 품질 논란이 불거지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 식약처는 대원제약이 생산하는 짜 먹는 지사제 포타겔(성분명 디옥타헤드랄스멕타이트)에 대해 미생물 한도 초과에 따른 품질 부적합 우려로 제품(제조번호 ‘23084’) 회수 조치에 들어갔다.

앞서 지난 5월에도 대원제약의 ‘콜대원 키즈 펜시럽’, 동아제약의 ‘챔프시럽’ 등 아세트아미노펜 성분 어린이 감기약 2종이 품질 논란에 휩싸인 바 있다.

 
대원제약에서 생산하는 '콜대원 키즈 펜시럼' (사진=대원제약 제공)

당시 콜대원 키즈는 약 성분과 시럽 첨가제의 '상분리(같은 성분의 물질이 분리되는 현상)' 현상으로 문제가 됐다.

낮은 점도와 밀도로 인해 주성분이 아래로 침강하면서 맑은 투명 액상과 흰색의 불투명 액상으로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한 바 있다. 이 경우 투약되는 주성분량이 적거나, 많아질 가능성이 있다.

대원제약의 콜대원 키즈는 충북 진천공장, 포타겔 현탁액은 충북 진천공장과 화성 향남공장 두 곳에서 생산 중이다. 이번에 문제가 된 제품은 향남공장에서 생산된 것으로 알려졌다.

때문에 오유경 식약처장이 밝힌 포 타입 의약품 생산 제약사에 대한 고강도 조사는 ‘대원제약’을 겨냥한 것이라는 게 업계 판단이다.

대원제약 관계자는 식약처장의 발언에 대해서 “콜대원이 걸린 건 아니고, 소비자 불안이 가중되고 있으니, 선제적으로 개선하자는 의미로 받아 들여진다”면서 “다만, 정제나 캡슐 형태는 수분이 들어가지 않으나 액체 형태의 경우 아무래도 다른 제품들보다 변질 위험이 높은 것 같다”고 말했다.

 

알파경제 이준현 기자(wtcloud83@alphabiz.co.kr)

어플

주요기사

숨진 쿠팡 기사 휴무 요청하자 "원하는 대로 하려면 이직하라"
안다르 창업자 남편, 北해커에 수천만원 송금…창업자 리스크 부각
검찰, '설탕 가격 담합 의혹' 삼양사·CJ제일제당 임원 3명 구속영장
박문덕 하이트진로 가족회사 '서영이앤티' 부당지원...국민연금, '관리기업' 지정
구현모 전 KT 대표, 차기 CEO 공모 불참…통신 전문성 없는 낙하산 우려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