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F 외환위기 부실 채권 아직도 2만여건 남아…개인채무가 84%

파이낸스 / 김교식 기자 / 2025-10-23 08:23:18
(사진=연합뉴스)

 

[알파경제=김교식 기자] 외환위기 당시 발생한 부실 채권 중 1만8000 건이 넘는 개인 채무가 25년 가까이 정리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박찬대 의원이 23일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캠코가 2000년 인수한 외환위기 부실채권 22만8293건(5조1577억 원) 중 올해 8월 말 기준 2만1433건(1조7704억 원)이 남았다.

미정리 채권 중 개인 채무가 1만8010건(3662억 원)으로 건수 기준 84%를 차지했다. 법인 채무는 3423건(1조4042억 원)으로 집계됐다.

캠코가 인수한 채권의 90.6%는 채무조정이나 소각 등으로 정리됐으나, 남은 채권들은 10년 단위로 2~3차례 시효가 연장된 것으로 추정된다.

정치권에서는 이달 출범한 장기 연체채권 매입기구 '새도약기금'을 통해 이들 묵은 채무를 적극적으로 소각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새도약기금은 상환 능력을 잃은 연체자를 지원하기 위해 7년 이상·5000만 원 이하 연체채권을 매입해 채무를 조정하거나 소각하는 배드뱅크다.

새도약기금은 공공기관과 금융사로부터 순차적으로 채권을 매입할 예정이어서, 25년 이상 된 이들 채권 중 일부도 포함될 전망이다.

다만 1조4000억 원대에 이르는 법인 채무 3000여 건은 개인을 대상으로 하는 새도약기금의 매입 대상에서 제외된다.

박찬대 의원은 "채무자들이 다시 경제 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며 "새도약기금에서 IMF 위기 당시 발생한 장기채권 포함을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알파경제 김교식 기자(ntaro@alphabiz.co.kr)

주요기사

농·축협 금융사고 5년간 961억원…회수율 44% 그쳐
한은 총재 "부동산 가격 상승이 한국 성장률 갉아먹어"
서울 아파트값, 주간 단위 역대 최고 상승률 기록..규제전 '막차 수요' 때문
유진투자증권, 라트비아 경제부와 인프라·방산 협력 전략적 MOU 체결
NH농협은행 '내부통제전문가' 인증 제도 도입...은행권 최초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