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개발 중심 근로시간 유연화"...삼성, 주64시간 근무 확대

인더스트리 / 류정민 기자 / 2025-03-25 08:06:40
(사진=연합뉴스)

 

[알파경제=류정민 기자] 반도체 등 첨단 기술 경쟁력 강화를 위한 주52시간 근무제 완화 논의가 활발한 가운데, 삼성그룹의 여러 기술 계열사들이 주 64시간 근무제를 도입하면서 대응하고 있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SDI는 최근 연구개발(R&D) 인력을 대상으로 주 64시간 근무 신청을 받기 시작했다.

근로기준법에 따르면 법정 근로 시간은 주당 40시간이며, 연장근로는 최대 12시간까지 가능하다.

그러나 국가경쟁력 강화를 목적으로 연구개발 분야와 같은 특수 직종에서는 고용노동부의 인가와 근로자의 동의를 통해 주 64시간까지 일할 수 있다.

현행 특별연장근로 인가 제도에서는 연구개발을 사유로 한 인가 기간이 최대 3개월이며, 이를 최대 세 번 연장해 총 12개월 동안 적용할 수 있다.

다만, 까다로운 요건으로 인해 지난해 R&D를 이유로 한 특별연장근로 사용은 전체의 0.5%에 그쳤다.

이에 정부는 최근 시행령을 개정해 한 번의 연장으로도 1년 동안 주 64시간 근무가 가능하도록 인가 기간을 최대 6개월로 늘렸다.

국회에서 '반도체 특별법'이 표류하자 정부는 이와 같은 보완책을 마련했다. 기술 경쟁력이 시급한 업계에서는 이를 적극 활용하는 움직임이다.  

 

최주선 삼성SDI 대표. (사진=연합뉴스)

지난해에는 삼성전자 반도체(DS) 부문과 모바일경험(MX) 사업부에서 먼저 주 64시간 특별연장근무를 도입한 바 있다.

최근 중국과 치열하게 경쟁 중인 배터리 업체인 삼성SDI도 이런 흐름에 합류한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해 말 삼성디스플레이에서 SDI 수장으로 자리를 옮긴 최주선 사장이 '기술통'으로서 기술력 강화에 집중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알파경제 류정민 기자(hera20214@alphabiz.co.kr)

주요기사

삼성전자, IFA 2025서 혁신상 26개 수상
대웅제약 펙수클루,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펙수클루‘ 中 허가 획득
포스코 노사, 임단협 잠정 합의 도출…조합원 찬반투표 앞둬
배달앱 수수료 상한제 도입 논란…”결국 소비자에 책임 전가”
관악구 피자집 살인, '피자먹다' 본사·가맹점 간 갈등이 불렀나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