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안현민, 추격의 솔로포. 사진=연합뉴스 |
[알파경제=박병성 기자] 한국 야구대표팀이 9회말 2사 후 터진 김주원(NC 다이노스)의 극적인 동점 솔로 홈런에 힘입어 일본과 7-7로 비겼다.
류지현 감독이 이끄는 한국은 16일 일본 도쿄돔에서 열린 K-베이스볼 시리즈 일본과의 2차전에서 짜릿한 무승부를 기록하며, 2017년부터 이어져 온 일본과의 1군 선수 맞대결 10연패의 사슬을 끊어냈다.
이날 경기는 한국이 3회말 선두 타자 최재훈(한화 이글스)의 볼넷과 박해민(LG 트윈스)의 2루타로 무사 2, 3루 기회를 잡은 뒤, 신민재(LG)의 삼진, 안현민(kt wiz)의 볼넷으로 만든 1사 만루에서 송성문(키움 히어로즈)의 우전 적시타로 2-0을 만들며 앞서나갔다.
![]() |
| 선취 적시타에 이어 더블스틸로 2루 훔친 송성문. 사진=연합뉴스 |
이어진 1사 1, 3루 상황에서는 1루 주자 송성문이 2루 도루를 시도하는 사이 3루에 있던 안현민이 홈으로 파고드는 이중 도루로 허를 찔러 3-0으로 점수 차를 벌렸다.
![]() |
| 대한민국 선발투수 정우주 역투. 사진=연합뉴스 |
선발 투수 정우주(한화)는 3이닝 동안 볼넷 1개, 탈삼진 4개를 기록하며 무실점으로 호투하며 한국이 경기 주도권을 잡는 데 기여했다.
하지만 한국은 4회초 곧바로 3실점하며 동점을 허용했다. 두 번째 투수 오원석(kt)이 일본 선수들에게 연속 안타와 볼넷을 내주며 무사 1, 2루 위기에 몰렸고, 이후 1사 만루에서 사사키 다이(히로시마 도요카프)에게 중전 안타를 맞아 1-3 추격을 허용했다.
![]() |
| 신민재의 적시타 세리머니. 사진=연합뉴스 |
바뀐 투수 조병현(SSG 랜더스) 역시 밀어내기 볼넷을 내주며 3-3 동점을 허용했으나, 상대 팀의 병살타로 추가 실점 없이 이닝을 마쳤다. 한국은 곧바로 이어진 4회말 신민재의 적시타로 4-3으로 다시 앞서나갔다.
일본은 5회초 반격에서 3점을 추가하며 역전에 성공했다. 조병현이 볼넷 두 개를 내준 뒤 김영우(LG)로 교체되었고, 니시카와 미쇼(지바롯데 머린스)의 내야 안타와 사사키의 밀어내기 볼넷으로 4-4 동점을 만들었다.
이후 2사 만루에서 이시가미 다이키(요코하마 베이스타스)의 역전 2타점 우전 안타로 6-4로 점수를 벌렸다. 한국은 7회말 문보경(LG)과 문현빈의 연속 볼넷, 김주원의 몸에 맞는 공으로 만루 기회를 잡았으나, 대타 박동원(LG)의 희생플라이로 1점을 추격하는 데 그쳤다.
일본은 8회초 배찬승(삼성 라이온즈)으로부터 다시 밀어내기 득점을 뽑아내 2점 차 리드를 되찾았다.
![]() |
| 안현민, 한 점차 추격의 솔로포. 사진=연합뉴스 |
5-7로 끌려가던 한국은 8회말 안현민의 솔로 홈런으로 추격의 불씨를 살렸다. 2003년생인 안현민은 일본의 투수 다카하시 히로토(주니치 드래건스)를 상대로 좌중간 솔로 홈런을 때려내며 1점 차로 따라붙었다.
![]() |
| 김주원, 동점 솔로홈런. 사진=연합뉴스 |
1점 차로 뒤진 한국은 9회말 2사 주자 없는 상황에서 일본의 마무리 투수 오타 다이세이(요미우리)를 상대해야 하는 어려운 상황에 놓였다. 그러나 2002년생 김주원이 오타의 3구째를 받아쳐 우중간 펜스를 넘기는 극적인 동점 솔로 홈런을 터뜨리며 경기를 원점으로 돌렸다.
한국 타선에서는 송성문, 문현빈, 박해민이 나란히 2안타씩 기록하며 공격을 이끌었고, 안현민은 홈런 포함 1안타와 볼넷 3개를 기록했다. 투수진에서는 선발 정우주와 더불어 2이닝을 무실점으로 막아낸 박영현(kt)의 호투가 돋보였다.
한국 야구는 2015년 세계야구소프트볼연맹(WBSC) 프리미어12 4강에서 일본을 4-3으로 이긴 이후, 프로 1군 선수로 구성된 대표팀 간 맞대결에서 1무 10패를 기록하고 있었다. 이번 무승부는 2017년 아시아프로야구챔피언십(APBC) 예선 패배 이후 10연패를 끊어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한국 선수단은 17일 귀국하며, 2026년 1월 사이판 전지훈련을 위해 재소집될 예정이다.
알파경제 박병성 기자(star@alpha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