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연합뉴스) |
[알파경제=김영택 기자] 고려아연 최윤범 회장의 기자회견이 지배구조 개선 약속에도 불구하고, 실질적인 변화를 가져올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최 회장은 이사회 의장직 사임 의사를 밝혔으나, 회장직 유지 입장을 고수해 경영권 사유화 우려를 불식시키지 못했다는 평가다.
최 회장은 13일 기자회견에서 이사회 의장직을 내려놓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회장직은 계속 유지하겠다는 점을 명확히 했다. 이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은 "전횡을 일삼던 본인의 위치나 지위는 유지하겠다는 뜻"이라고 해석했다.
이사회 독립성 강화 방안에 대해서도 의문이 제기됐다.
최 회장 측이 추천한 사외이사 중 한 명이 이사회 의장을 맡게 될 경우 "독립성 강화는 커녕, 그 이사회 의장 역시 거수기 역할에 불과할 뿐"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더욱이 이사회 의장직 사임 시기조차 명확히 밝히지 않아 실효성에 의문이 제기됐다.
비지배주주 승인제도(MOM, Majority of Minority Voting) 도입 제안에 대해서도 회의적인 시각이 존재한다.
![]() |
(사진=연합뉴스) |
일각에서는 이를 "본인 또는 최씨 일가로 대변되는 2대주주가 영풍·MBK 파트너스로 대변되는 지배주주에 대해 실질적인 거부권(veto)을 행사함으로써 최 회장 본인의 자리를 유지하겠다는 뜻"으로 해석했다.
과거 논란이 됐던 투자 결정에 대한 해명도 요구됐다. 중학교 동창이 운영하는 원아시아파트너스에 약 5600억원의 회사 자금을 이사회 승인 없이 투자한 건과 최 회장 처형으로 알려진 인물이 대표로 있었던 'CS Design Group'의 고려아연 및 관계사 인테리어 독점 의혹에 대한 설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MBK파트너스와 영풍 관계자는 알파경제에 “최 회장이 고려아연 지배구조의 근본적인 변화나 개혁을 희망하지 않고 있다"면서 "특정 주주가 경영하는 구조에서 벗어나 이사회와 집행임원을 분리하는 것이 기업경영지배구조(거버넌스)를 정상화”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전문경영진이 특정 주주가 아닌 소수주주를 포함한 모든 주주의 이익을 위해 최선을 다하도록 하는 방안"이라고 제안했다.
MBK 파트너스와 영풍은 임시 주주총회 소집을 통해 "하루 빨리 고려아연의 무너진 거버넌스를 바로 세우고, 주주가치, 기업가치를 회복하는데 매진하고자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 |
(사진=연합뉴스) |
한편, 최윤범 고려아연 회장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시장의 예상 밖이던 2조5000억원대 일반공모 유상증자 발표로 혼란을 초래했다면서 이를 철회하며 공개 사과했다.
알파경제 김영택 기자(sitory0103@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