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은행 기업가치 제고 계획, 낮은 목표 수준 설정

파이낸스 / 박남숙 기자 / 2024-12-06 17:23:55
(사진=연합뉴스)


[알파경제=박남숙 기자] 기업은행(024110)의 총 주주환원율이 4대 금융지주 평균 대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LS증권에 따르면, 기업은행은 자기자본이익률(ROE) 10% 달성목표를 설정하고, CET1비율구간별로 배당성향 목표를 수립해 CET1 12.5% 및 배당성향 40%(별도기준)를 중장기 목표로 제시했다.

 

또한 분기배당 도입을 위한 정관개정을 2025년 중 추진했다.

 

타사와의 차이점은 자사주 매입소각이 주주환원 계획에 포함되지 않았으며, 적정 보통주자본비율 유지를 위한 RWA 성장률 목표 또한 설정되지 않았다는 점이다.

 

이는 정부가 대주주인 지배구조 특성과 중소기업 지원을 위한 공공역할 수행 필요성에 기인했다는 분석이다.

전배승 LS증권 연구원은 "2023년 기업은행의 연결기준 배당성향은 29.4%(별도 32.5%)로 4대 금융지주 평균 27.2% 대비 높았다"며 "하지만 자사주 매입소각을 실시하지 않아 총주주환원율은 4대 금융지주 평균 35.1% 대비 낮았다"고 파악했다.

 

기업은행의 별도와 연결기준 배당성향은 최근 5년간 평균 4%p가량 차이를 보이고 있어 중장기 40%의 별도 배당성향 목표는 연결기준으로는 36% 수준이다.

 

이는 24~25년의 4대 금융지주의 총주주환원율 40% 내외 대비 낮다는 평가다.

 

현재 주가와 시총을 기준으로 2025년 예상 DPS와 자사주소각규모를 감안해 총주주환원 수익률을 산정해보면, 배당수익률의 경우 기업은행이 7.7%로 4대지주 평균 5.6%를 크게 상회한다. 

 

다만, 자사주소각을 포함한 총수익률은 4대지주 평균 8.6%p 대비 1%p 가량 낮게 나타났다.

 

(출처=LS증권)

 

전배승 연구원은 "동사의 경우 대출성장 측면에서 가계대출 규제에 따른 부정적 영향이 덜하고, 금리인하 기조 하에서 중금채를 활용해 순이자마진(NIM) 하락을 방어하기에 상대적으로 유리한 구조를 갖고 있다"고 분석했다.

 

다만, 대손비용 하락 속도가 빠르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고 이자이익 증가율 둔화가 불가피해 ROE 10% 달성목표는 쉽지 않은 과제가 될 것이란 판단이다. 

 

알파경제 박남숙 기자(parkns@alphabiz.co.kr)

주요기사

금감원 노조-이찬진 첫 면담서도 평행선…투쟁 지속 예고
신한금융지주 "롯데손보 인수 추진 보도 사실무근"
[마감] 코스피, 3거래일 연속 사상 최고치 행진…3400선 턱밑 마감
수도권 135만세대 공급?! 9.7 부동산 대책 핵심 정리! : [부동산 정책 브리핑:복테크] 알파경제 tv
9월 둘째 주 전국 아파트 가격 소폭 상승..9·7 공급 대책 반응 부족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