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감] 코스피, 기관 9천억 순매수에 4150선 탈환

파이낸스 / 김교식 기자 / 2025-11-12 16:29:30
(사진=신한은행)

 

[알파경제=김교식 기자] 기관 투자자의 대규모 순매수세에 힘입어 코스피 지수가 1% 넘게 상승하며 4150선을 회복했습니다.

12일 코스피는 전 거래일보다 44.00포인트(1.07%) 오른 4150.39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지수는 4097.44로 출발해 전장보다 8.95포인트(0.22%) 낮은 수준에서 시작했지만, 곧 상승 전환해 오름폭을 지속적으로 확대했습니다.

기관이 9127억원을 사들이며 단독으로 지수 상승을 이끌었습니다. 개인과 외국인은 각각 4466억원, 4280억원을 순매도했습니다.

업종별로는 생물공학(9.39%), 생명과학도구및서비스(6.19%), 비철금속(5.53%), 생명보험(4.90%), 증권(4.67%) 등이 강세를 나타냈습니다.

반도체와반도체장비(-0.33%), 무선통신서비스(-0.41%), 통신장비(-0.43%), 전기장비(-1.51%) 등은 하락했습니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에서는 KB금융(3.06%), 현대차(2.42%), 한화에어로스페이스(1.27%), LG에너지솔루션(0.53%), HD현대중공업(0.37%), 두산에너빌리티(0.26%) 등이 올랐습니다.

삼성전자(-0.39%), 삼성전자우(-0.38%), SK하이닉스(-0.32%) 등은 내렸습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보합으로 마감했습니다.

코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22.24포인트(2.52%) 상승한 906.51에 장을 마쳤습니다.

코스닥 시장에서는 외국인이 2441억원을 순매수하며 매수세를 주도했고, 기관도 1234억원을 순매수했습니다. 개인은 3617억원을 순매도했습니다.

시총 상위 종목 중에서는 에이비엘바이오(29.95%), 리가켐바이오(17.56%), 펩트론(10.53%), 알테오젠(7.25%), 삼천당제약(4.81%), HLB(3.07%), 에코프로비엠(1.11%) 등이 상승했습니다.

에코프로(-0.53%), 레인보우로보틱스(-1.38%), 파마리서치(-1.25%) 등은 하락했습니다.

그럼 오늘의 특징주를 살펴보겠습니다.
 

(사진=연합뉴스)


효성이 거래소의 투자경고 지정 발표로 큰 폭으로 하락했습니다.

이날 효성은 전 거래일 대비 7.79%(1만2800원) 하락한 15만1500원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한국거래소는 전날 효성을 12일자로 투자경고종목으로 지정한다고 공시했습니다.

지정 배경에는 최근 1년간 주가가 200% 이상 급등한 점, 최근 15일 중 최고가를 기록한 점, 소수 계좌의 매매 집중도가 시장감시위원회 기준을 초과한 일수가 4일 이상 발생한 점 등이 작용했습니다.

거래소는 "투자경고종목 지정 이후 이틀간 주가가 40% 이상 오르고 지정 전일 종가를 상회할 경우 1회에 한해 매매거래 정지가 가능하다"고 밝혔습니다.
 

(사진=연합뉴스)


한미약품이 글로벌 비만약 시장 성장 전망에 힘입어 5%대 강세를 보였습니다.

한미약품은 전장보다 2만5500원(5.62%) 상승한 47만9500원에 마감했습니다.

전날 뉴욕 증시에서 비만 치료제 '젭바운드'를 생산하는 일라이 릴리가 2.27% 오르는 등 제약주 전반이 강세를 나타낸 영향이 국내 시장으로 전이된 것으로 분석됩니다.

한승연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일라이 릴리의 시가총액이 약 9000억달러로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는 등 비만약 대장주의 밸류에이션이 지속 확대되고 있다"며 "2026년까지 비만 산업의 구조적 성장세가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또한 "중장기 관점에서 비만약 시장 성장세를 겨냥할 수 있는 가장 유력한 국내 투자 대상으로 한미약품을 꼽을 수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알파경제 김교식 기자(ntaro@alphabiz.co.kr)

어플

주요기사

퇴출 못한 부실기업이 성장 발목…한은 “제때 정리됐다면 GDP 0.4% 높았을 것”
하나자산운용, ‘하나파이팅코리아’ 펀드 순자산 1,000억 돌파
BNK부산은행, 거래실적 조건 없는 모바일 전용 ‘ONE주택담보대출’ 출시
수도권 아파트 분양률 3분기 연속 하락..부동산 규제 대책 영향
주산연 "주택공급 특별대책 필요..승인권자, 국토부장관으로 일원화"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