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경기도 의왕 현대모비스 기술연구소에서 진행된 ‘Tech Bridge 2025’에서 50개 전동화·모듈 신기술 전시 현장과 첨단 기술을 체험하는 관람객들의 모습 (사진= 현대모비스 제공) |
[알파경제=문선정 기자] 현대모비스가 올해 개발한 모빌리티 신기술 50개를 고객사와 협력사에 공개했다. 전동화와 모듈사업 부문에서 대표적인 연구성과들을 선정했고, 앞으로 이들을 융합한 통합 설계기술도 지속적으로 선보인다는 방침이다.
현대모비스는 지난 18일부터 이틀간 경기도 의왕 전동화연구소에서 ‘기술을 잇고, 주행을 만나다’를 주제로 ‘테크 브릿지 2025’를 진행하고 올해 개발한 신기술 50개를 고객사와 협력사에 공개했다고 19일 밝혔다.
'테크 브릿지 2025'는 그동안 각 부문별로 운영해오던 전시회를 올해 처음으로 전동화와 모듈 부문을 통합해 공동 개최했다.
이는 대형 부품인 모듈 기술과 전기차 핵심 부품을 연구하는 전동화 부문의 시너지를 통해 수주 경쟁력을 극대화할 수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라고 회사는 설명했다.
현대모비스는 이번 전시회에서 배터리와 구동 부품 등 전동화 분야에서 28개, 섀시 모듈과 운전석(칵핏)·실내 조명·외장 등 모듈 부문에서 총 22개의 신기술을 선보였다.
전동화 부문의 주요 성과로는 도심형 소형 전기차에 특화된 120kW급 PE 시스템이 대표적이다.
이는 모터, 인버터, 감속기를 통합한 구동시스템으로, 현대모비스가 중형과 대형 전기차에 이어 전기차 전 차종을 아우르는 구동시스템 라인업을 확보하게 됐음을 의미한다고 전했다.
특히 이번에 개발한 소형 PE 시스템은 도심형 운송차량에 특화해 부피를 축소하고 부품 높이를 낮춘 저상형 구조로 설계돼 더 많은 적재가 가능하도록 했다.
또한, 전기차 충전 속도를 2배 가까이 높인 신기술도 공개했다. 차세대 22kW급 ICCU(통합 충전 제어 장치)는 고속 충전 시에도 배터리의 전압과 온도를 실시간 모니터링하며 충전 속도를 능동적으로 제어하는 알고리즘을 적용해 충전 속도와 안전성을 동시에 확보했다고 강조했다.
모듈 부문에서는 차량의 공간 활용도를 높이는 저상화 기술이 주목받았다. 기능 통합 저상화 섀시 모듈은 기존 스틸 코일 스프링과 유압 쇽옵쇼버를 복합재를 활용한 판스프링과 전동 로터리형 댐퍼로 교체해 경량화와 주행 감성을 동시에 향상할 수 있는 구조를 제안했다. 현대모비스는 이 기술을 개발하며 총 5건의 특허도 출원했다고 밝혔다.
이외에도 칵핏 모듈 분야에서는 차량 전력 소모를 줄이면서 고휘도를 구현하는 저전력 발광 다이오드(LED) 기반 실내 무드 조명 제어기와 3D 프린터와 유사한 방식으로 금속을 용접 적층해 금형을 만드는 WAAM 기반 사출 금형 기술 등 제조 경쟁력 향상 요소 기술을 소개했다.
현대모비스는 이러한 전동화와 모듈 부품 역량을 바탕으로 미국 자동차 전문지 오토모티브뉴스가 선정한 글로벌 100대 부품사에서 지난 3년간 6위를 달성했다.
알파경제 문선정 기자(press@alpha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