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신한투자증권)) |
[알파경제=류정민 기자] 신한투자증권은 내부통제 관련 문제 발생 시 전 임원의 성과급을 일괄적으로 감액하는 새로운 원칙을 도입했다고 22일 발표했다.
이는 평가 및 보상 시스템을 내부통제 강화에 최우선으로 두겠다는 의지를 반영한 조치로 풀이된다.
신한투자증권 측은 이번 조치가 특정 임원에게만 책임을 묻던 기존 관행에서 벗어나, 전 임원에게 책임을 묻는 강력한 집단 책임제를 확립하는 선언이라고 강조했다.
부서 평가 역시 내부통제 중심으로 강화될 예정이다.
내부통제 평가 비중을 대폭 확대하고, 내부통제 미흡 시 평가 점수와 관계없이 성과평가 등급을 최저 등급까지 하향 조정할 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했다.
더불어, 연말에 진행되는 성과 우수 부서 및 직원 포상 행사인 업적평가 대회에서는 '내부통제 플래티넘' 부문을 신설해 내부통제 우수 부서에 대한 포상을 강화할 계획이다.
이번 내부통제 강화 조치는 지난해 10월 발생한 ETF(상장지수펀드) 장내 선물 매매 관련 1,300억 원 규모의 손실 사태 이후 추진됐다.
당시 ETF 유동성 공급자(LP)가 본래 목적을 벗어나 장내 선물 매매를 진행하면서 과도한 손실이 발생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에 신한투자증권은 비상경영체제에 돌입해 위기관리·정상화 TF(태스크포스)를 구성, 운영해 왔다.
올해 1분기까지 내부통제, 조직문화, 인적 혁신 등 다양한 과제를 설정하고 해결 방안을 모색해 왔다.
이선훈 신한투자증권 대표는 "이번 비상경영체제 하에서 내부통제를 평가 및 보상과 직접적으로 연계해 실천 의지를 극대화했다"고 밝혔다.
또한 "보이지 않는 잠재적 리스크까지 모두 치유해야 신뢰를 회복할 수 있다는 믿음으로, 앞으로도 내부통제 강화 조치를 적극적으로 실천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알파경제 류정민 기자(hera20214@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