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연합뉴스) |
[알파경제=류정민 기자] 우리금융지주의 보통주 자본비율(CET1)이 잠정치보다 소폭 상승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금융사의 재무 건전성을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로 꼽힌다.
19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우리금융은 2024년 회계연도 사업보고서에서 작년 말 기준 보통주 자본비율이 12.13%였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달 실적 발표 시 예측했던 12.08%보다 0.05%포인트 증가한 수치다.
우리금융의 보통주 자본비율은 지난 2022년 말 11.57%, 2023년 말 11.99%, 그리고 이번에 보고된 2024년 말에는 12.13%로 꾸준히 상승세를 보였다.
이 비율이 처음으로 지주 출범 이후 12%를 넘어서게 된 것이다.
특히 지난해 3분기 말에는 비율이 11.95%였으나, 이를 4분기 말에 12.13%로 끌어올리며 주요 금융지주 중 유일하게 전 분기 대비 개선된 모습을 보였다.
연말 원달러 환율 급등에도 불구하고, 우리금융은 자산 리밸런싱 등의 전략을 통해 이러한 하락 압력을 방어했다고 설명했다.
이러한 성과는 투자자들의 긍정적인 반응을 얻었으며, 외국인 지분율 확대와 주가 상승으로 이어졌다.
우리금융 관계자는 "올해 내에 보통주 자본비율을 12.5%까지 올릴 계획"이라며 "향후 이 비율이 목표인 12.5~13%에 도달할 경우, 지난해의 총 주주환원율을 단계적으로 상향 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알파경제 류정민 기자(hera20214@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