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달의 민족, '상생 요금제' 도입...외식업주들 부담 낮춘다

인더스트리 / 류정민 기자 / 2025-01-22 12:19:44
(사진=우아한 형제들)

 

[알파경제=류정민 기자] 배달 플랫폼 업계의 선두주자인 배달의민족이 외식업계 지원을 위한 '상생 요금제' 도입을 서두르고 있다. 

 

이는 장기화된 경기 침체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소상공인들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조치로 해석된다.

 

22일 우아한형제들은 다음 달 26일부터 '배민1플러스' 서비스 이용 업주를 대상으로 매출 규모에 따른 차등 수수료율을 적용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번 조치로 중개이용료가 기존 9.8%에서 최대 7.8%포인트 인하되어, 매출 하위 20% 업주의 경우 공공배달앱 수준인 2%의 수수료율이 적용된다.

 

배달의민족 관계자는 "차등수수료율은 소상공인의 수익성 개선을 지원하고, 배달 매출이 낮은 업주의 수수료 부담을 줄여 매출 증대 여건 마련을 지원하는 취지가 있다"고 설명했다.

 

새로운 요금 체계에 따르면, 매출 규모별로 네 개의 구간으로 나누어 차등 요금이 적용된다. 

 

매출 하위 20% 구간의 업주는 가장 큰 혜택을 받게 되며, 3만원 주문 시 현재 대비 2340원의 비용 절감 효과를 볼 수 있다.

 

업계 전문가들은 이번 조치가 대다수 외식업주들의 부담을 실질적으로 낮출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특히 매출 규모가 작은 하위 50% 업주들에게는 배달비 조정 없이 중개이용료 인하만 적용되어, 배달 영업에 따른 비용 부담이 크게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일각에서는 배달 비중이 높은 프랜차이즈의 경우 오히려 수수료 부담이 높아질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됐다. 

 

그러나 배달의민족 측은 실제 입점한 프랜차이즈 업주 중 매출 하위 65%에 속하는 업주의 비중이 높아, 중개 이용료 및 배달비 인하폭이 더 크게 적용될 것이라고 반박했다.

 

이번 '상생 요금제'는 배달플랫폼 상생협의체의 결정에 따라 향후 3년간 운영될 예정이다.

 

배달의민족 관계자는 "앞으로도 지속적인 서비스 개선과 맞춤형 사장님 지원으로 경쟁력을 강화하고 더 나은 성장을 이루도록 함께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알파경제 류정민 기자(hera20214@alphabiz.co.kr)

주요기사

하이브 방시혁, 인도에 5번째 해외법인 설립…K팝 수출 가속화
SK 자회사 호실적에 하반기 실적 모멘텀 가능, 목표가↑
법원 "신라면세점 임대료 25% 인하해야" 강제 조정
美 치폴레, 한국 시장 상륙…SPC그룹, 내년 상반기 1호점 개장
네이버, 컬리·우버 등과 손잡고 커머스 생태계 확장…개인화 추천 고도화 높인다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