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두 뻥튀기 상장' 집단소송 제기돼 주권 매매거래 일시 정지
![]() |
| 윤병운 NH투자증권 대표. (사진=NH투자증권) |
[알파경제=이준현 기자] NH투자증권이 올해 3분기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하고 초대형 투자은행(IB)의 핵심인 종합투자계좌(IMA) 사업 인가를 신청했지만, 고위 임원의 미공개 정보 이용 의혹과 상장 주관사 책임론에 휩싸이며 위기를 맞고 있다.
12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한국거래소로 구성된 '불공정거래 합동대응단'은 지난달 28일 서울 여의도 NH투자증권 본사를 압수수색했다.
합동대응단은 NH투자증권의 IB 부문 고위 임원 A씨가 직무상 취득한 미공개 정보를 이용해 약 20억원 규모의 부당이득을 챙긴 정황을 포착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수사는 정부가 주가조작 등 불공정거래 척결을 위해 출범시킨 합동대응단의 '2호 사건'으로, 수사 결과에 따라 파장이 커질 전망이다.
설상가상으로 지난 7일에는 반도체 팹리스 기업 '파두'의 기업공개(IPO)와 관련해 투자자들로부터 집단소송을 당했다.
법무법인 한누리는 NH투자증권이 2023년 파두 상장 당시 매출 공백 사실을 알고도 증권신고서에 거짓 기재를 방지하지 못했다며 서울남부지방법원에 증권관련집단소송을 제기했다.
한국거래소는 집단소송 제기 공시에 따라 이날 오전 NH투자증권의 주권 매매거래를 1시간 30분가량 정지시키기도 했다.
잇따른 악재는 NH투자증권의 역대급 실적 호조에 찬물을 끼얹고 있다.
NH투자증권의 올해 3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은 3913억원, 당기순이익은 2831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각각 108%, 84% 급증한 수치로 분기 기준 역대 최대 실적이다. 3분기 누적 영업이익도 1조원을 돌파하며 '1조 클럽' 달성을 확정 지었다.
호실적을 바탕으로 NH투자증권은 지난 9월 말 금융당국에 IMA 사업 인가를 신청한 상태다. 앞서 회사는 IMA 인가 요건인 '자기자본 8조원'을 충족하기 위해 대규모 유상증자까지 단행하며 사업 확장에 사활을 걸었다. IMA 사업자로 지정되면 기업에 대한 신용공여 한도가 대폭 늘어나고 발행어음 한도 제한도 사라진다.
그러나 금융당국이 대주주 적격성과 내부통제 시스템을 인가 심사의 핵심 잣대로 삼고 있는 만큼, 이번 임원 비위 의혹과 집단소송이 심사 과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윤병운 NH투자증권 대표는 취임 후 호실적을 이끌며 경영 능력을 입증했으나, 연말 임원 인사를 앞두고 터진 대형 악재로 인해 내부통제 강화와 조직 쇄신이라는 과제를 안게 됐다.
알파경제 이준현 기자(wtcloud83@alphabiz.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