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연합뉴스) |
[알파경제=류정민 기자] 금융감독원이 사모펀드 GP인 MBK파트너스를 대상으로 검사를 시작하면서 PEF 업계에 긴장감이 돌고 있다.
이는 금감원이 GP를 상대로 검사를 나선 첫 사례로, 정치권의 관심에 이어 감독기관까지 나서면서 업계는 자신들에게도 불똥이 튈까 우려하고 있다.
19일 서울 여의도에서 열린 기자 간담회에서 이복현 금감원장은 "오늘 MBK 검사에 착수하겠다"고 발표했다.
금감원은 ▲MBK의 홈플러스 신용등급 하락 인지 시점 ▲기업회생신청 결정 시점 ▲전자단기사채 발행 판매 과정에서의 부정거래 의혹 ▲상환전환우선주(RCPS) 상환권 양도 과정에서 국민연금 등 LP의 이익침해 여부 등을 중점적으로 조사할 예정이다.
업계는 이런 소식에 한숨을 쉬고 있다. MBK의 홈플러스 사태로 인해 출자 방침이 바뀌고 새로운 규제가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한 PEF 관계자는 "규제가 생기면 PEF 활동이 위축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국민연금은 이미 적대적 M&A 투자에는 참여하지 않겠다는 방침을 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에서는 적대적 M&A가 정확하게 규정하기 어려운 개념인 만큼 다양한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번 사태는 PEF 전체 이미지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한 PEF 대표는 "PEF 이미지가 나빠지면 장기적으로 출자나 투자 등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고 우려를 표명했다.
특히 이번 사태에 정치권까지 뛰어들면서 부담은 더욱 커지고 있다. 정치권에서 PEF에 대한 편견을 가질 경우 향후 활동이 어려워질 수 있기 때문이다.
또 다른 IB 업계 관계자는 "MBK 하나 때문에 PEF 업계가 마녀사냥의 대상이 되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그는 "이번 홈플러스 사태는 어디까지나 MBK의 문제"라며 "PEF 전체 사업 모델이나 투자 행위에 제한이 생겨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알파경제 류정민 기자(hera20214@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