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 조직개편·임원인사 단행…퀀텀점프 가속화

피플 / 류정민 기자 / 2024-11-11 11:08:49
한국항공우주산업 경남 사천 본사 전경. (사진=KAI)

 

[알파경제=류정민 기자] KAI(한국항공우주산업)가 뉴 에어로스페이스(New Aerospace) 시대를 준비하고 퀀텀 점프와 비전 2050을 실현하고자 조직개편을 단행했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조직개편은 경쟁력강화T/F 결과에 따라 수출·개발·생산의 핵심역량 및 효율경영 강화에 초점을 뒀다.

KAI는 3부문 1원 2본부 2센터를 5부문 1원 4본부 체계로 단순화하면서 분야별 전문성을 강화한 고효율 조직으로 개편했다.

먼저 각 사업부에 분산된 수출 조직을 통합, 기능을 집적화한 '수출마케팅부문'을 신설한다. 고정익과 회전익, 무인기, 위성 등 다양한 제품 라인업에 대한 해외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패키지형 수출전략을 수립해 보다 공격적인 마케팅을 추진한다는 전략이다.

미래융합기술원은 산하에 'AI/항전연구센터'를 신설하고 미래 핵심기술 개발 기능을 강화환다.

이를 위해 항공우주 핵심기술 분야인 AI와 SW, 항공전자, 비행제어 기능을 통합하고 향후 6세대 전투체계, AI파일럿 등 4차 산업혁명 기술 기반의 차세대 플랫폼 개발에 박차를 가한다는 계획이다.

지난해 신설한 재무그룹은 본부로 격상하고 재무 전문성을 강화한다. 미래 핵심기술과 중소 강소기업에 대한 투자가 확대되고 해외 고객들의 수출 금융지원 필요성이 증대됨에 따라 불안정한 글로벌 금융시장 변화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도록 기능을 강화하고 조직 체질 개선에 나선다는 설명이다.

아울러 기존 운영센터는 고효율 생산기반 구축과 고객 만족도 향상을 위해 부문 체제로 전환한다. 운영센터는 LAH, KF-21 양산 본격화에 따라 불안정한 글로벌 항공우주산업 생태계 환경을 극복하고 우수한 성능과 품질을 갖춘 제품을 적기 납품하기 위해 생산과 상생협력, SCM 기능을 통합한 '생산구매부문'으로 재편한다.

또한 KAI는 조직 변화와 융합에 주안점을 둔 인사도 단행했다. 2024년 한국형전투기 KF-21 무사고 비행으로 25년간 시험비행 무사고 기록 달성, 항공기 납품 및 품질 안정화, 손익목표 달성 등 성과 창출에 기여한 인사를 중용하고, 미래성장, 전문성, 조직융합을 키워드로 진행했다.

특히 주요 조직장 용퇴를 계기로 후임 승진 인사와 적재적소 보임을 통해 조직 분위기 쇄신과 조직간 협업을 강화, 2025년 목표달성을 위해 더욱 박차를 가한다는 계획이다.

강구영 KAI 사장은 "수출역량 강화와 미래기술 선제적 확보, 생산 효율화, 생산능력(CAPA) 확대 등 경쟁력이 한층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며 "비전 2050 달성을 위해 한 걸음 더 나아가고 항공우주의 새로운 역사를 계속 써 내려가겠다"고 말했다.

다음은 KAI의 승진자 명단

△ 전무 → 부사장 : 차재병(고정익사업부문장)
△ 상무 → 전무 : 조우래(수출마케팅부문장), 조정일(회전익사업부문장),
송호철(생산구매부문장)
△ 임원 위촉(전무) : 최낙선(AI/항전연구센터장)
△ 임원 위촉(상무) : 남연식(재무본부장), 박재웅(구매센터장), 심우영(인사관리실장), 정민재(개발사업관리실장), 신동학(비행시험평가실장), 서현석(위성연구실장), 김형수(품질보증실장)

 

알파경제 류정민 기자(star@alphabiz.co.kr)

주요기사

이찬진 금감원장, 전 금융권 CEO 불러 '소비자 보호 강화' 주문
서유석 금투협회장, 인도증권거래소와 금융 교류 확대 논의
美 이민 단속 한국인 체포 사태, 김정관 장관 "美 상무장관에 강한 유감 표명"
문재인 전 대통령 뇌물 혐의 재판, 2차 준비기일…국민참여재판 여부 결정
[오늘의부고] 김만수씨 별세 외 9월 8일자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