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여성 고용률 61.4%...OECD 31위로 뚝↓

파이낸스 / 류정민 기자 / 2025-01-06 10:01:16
(사진=연합뉴스)

 

[알파경제=류정민 기자] 한국의 여성 고용 지표가 지난 20년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하위권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연한 근로환경 조성과 가족 돌봄 지원 정책의 미흡함이 주요 원인으로 지적됐다.

 

6일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가 발표한 OECD 38개 국가의 15∼64세 여성 고용 지표 분석 결과에 따르면, 2023년 기준 한국의 여성 고용률은 61.4%, 경제활동 참가율은 63.1%로 모두 31위를 기록했다. 

 

한경협의 보고서는 "2003년부터 2023년까지 한국의 여성 고용률 순위는 27위에서 31위로 4계단 하락했으며, 이 기간 동안 한 번도 하위권(26∼31위)을 벗어나지 못했다"고 밝혔다.

 

같은 기간 여성 경제활동 참가율은 32위에서 31위로 1계단 상승하는 데 그쳤다.

 

사진=한경협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15세 미만 자녀를 둔 여성의 고용률이다. 

 

2021년 기준 한국의 해당 지표는 56.2%로, 경제 규모와 인구가 비슷한 '30-50클럽' 7개국 중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30-50클럽'은 국민소득 3만 달러, 인구 5천만 이상인 국가들을 지칭한다.

 

한경협은 여성 고용률이 70%를 넘는 독일, 일본, 영국과 한국의 고용환경을 비교 분석했다.

 

그 결과, 한국은 유연한 근로환경 조성과 가족 돌봄 지원 두 가지 측면에서 뒤처진 것으로 나타났다.

 

근로시간 유연성 측면에서, 한국은 주 단위로 연장근로를 최대 12시간으로 제한하고 있다. 

 

반면 독일, 일본, 영국은 월 단위 이상으로 탄력적으로 운영하고 있어 더 유연한 근무 환경을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가족정책 지출 측면에서도 한국은 뒤처져 있다. 

 

2020년 기준 한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족정책 지출 비중은 1.5%로, 독일(2.4%), 영국(2.3%), 일본(2.0%) 등 3개국 평균인 2.2%에 미치지 못했다.

 

알파경제 류정민 기자(hera20214@alphabiz.co.kr)

주요기사

네이버, 국정감사 지적에 두나무 편입 재공시…"확정된 바 없다"
10.15 부동산 대책, 서울 전역이 규제지역으로 묶였다! : [부동산 정책 브리핑:복테크] 알파경제 tv
[마감] 코스피, 사상 첫 3940선 돌파…'사천피' 눈앞
서울 전세 매물 잠김 현상..전세 월세화 가속화 되나
"10·15 부동산 대책 부정 평가가 긍정보다 많아"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