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석] 신세계인터내셔날, 명품 MD에서 매스 MD로 변화

인사이드 / 김지현 기자 / 2023-11-28 09:20:31
◇내년 라이프스타일 부문 중심 수익성 개선
◇패션부문 회복에 화장품 성장 지속
◇신규 시장 확장 및 매스 MD 강화 전략
[알파경제=김지현 기자] 신세계인터내셔날은 신세계 그룹의 명품 강화 전략에 맞추어 럭셔리 MD에 집중해 왔다.


하지만 최근 소비 트렌드가 매스 및 인디로 이동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신세계인터내셔날의 MD 전략에도 변화가 감지되고 있다.

또 패션부문과 화장품부문 모두에서 브랜드 포트폴리오를 확장하고 있어 신규 브랜드 성과가 가시화될지 주목되고 있다.

 

신세계인터내셔날 사옥 (출처=연합뉴스)


◇ 내년 라이프스타일 부문 중심 수익성 개선

28일 미래에셋증권은 신세계인터내셔날의 2024년 매출액은 전년 대비 3% 증가한 1조3979억원, 영업이익은 28% 증가한 707억원으로 예상했다.

셀린느 계약 종료 영향이 제거되면서 매출 하락 및 감익 구간도 끝날 전망이다.

소비 불확실성을 감안해 매출액 소폭 성장, 저가 라이프스타일 부문 중심 수익성 개선이 예상된다.

배송이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변화된 전략 방향성에 비추어 향후 추정치 상향 가능성이 존재한다"며 "신규 브랜드 투자, 해외 모멘텀 가시화 등의 이벤트를 기대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자료: 신세계인터내셔날, 미래에셋증권 리서치센터)


◇ 패션부문 회복에 화장품 성장 지속

내년 투자 포인트는 패션부문 회복, 화장품 성장 지속, 브랜드 포트폴리오 확장, IP 라이선스 비즈니스 강화 등을 꼽을 수 있다.

우선 신세계인터내셔날은 2021년 보복소비, 2022년 리오프닝에 역대급 패션 실적을 기록한 뒤 올해는 연중 높은 역기저 부담이 지속되었다.

또 해외 및 국내패션에서 종료 브랜드가 발생하며 2023년 패션 전체 매출액은 24.7%, 영업이익은 64.8% 감소할 것으로 추정된다.

다만, 내년부터는 전년 낮아진 기저 효과에 더해 종료 브랜드 제거 효과가 나타나면서 기다렸던 회복이 시현될 전망이다.

화장품 사업부문은 전년 높은 베이스 부담에도 불구하고 선방했다.

특히 딥티크, 바이레도, SMN, 에르메스, 아워글래스 등 수입 화장품 판매가 호조를 이어나갔고, 자체 브랜드에 대한 마케팅 비용 효율화도 OPM 개선에 주효하게 작용했다.

오지우 이베스트투자증권 연구원은 "올해 패션부문의 꾸레쥬, 뷰오리, 화장품부문의 로라메르시에, 다비네스, 돌체앤가바나 뷰티 등 적극적으로 신규 브랜드 런칭 전략을 펼쳤고 초기 목표 이상의 성과를 달성해내고 있다"며 "4분기에도 패션 브랜드 1개, 화장품 브랜드 1개, 12월 화장품 브랜드 1개 런칭이 예정되어 긍정적"이라고 설명했다.

 

(자료: 신세계인터내셔날, 미래에셋증권 리서치센터)

 

◇ 신규 시장 확장 및 매스 MD 강화 전략

신세계인터내셔날은 럭셔리부터 매스까지 아우르는 브랜드 포트폴리오를 확보하고 있다.

지난 수년간은 신세계 그룹의 명품 강화 전략에 맞추어 럭셔리 MD에 집중, 성공적으로 안착시키면서 MD 경쟁력을 증명해 왔지만, 앞으로의 소비 트렌드는 럭셔리에서 매스 및 인디로 이동할 것으로 예상돼 MD 전략에도 변화가 감지된다.

가장 큰 변화가 예상되는 부문은 패션이다. 신세계인터내셔날의 국내 패션 부문은 중저가 영패션 브랜드들로 구성되어 있다.

배송이 연구원은 "그간 명품 MD에 집중하면서 다소 소외되어 있었는데, 사측에서는 신규 브랜드 투자 및 유통을 포함하여 국내 패션 부문을 강화한다는 계획"이라며 "지난 9월 국내패션 통합 법인을 출범했고, 2024년 이후 본격적인 사업 강화 작업이 진행될 것"으로 전망했다.

고가 브랜드 위주인 해외 패션은 수출 및 라이선스 사업에 신규 진출해 시장을 개척한다는 계획이다.

배 연구원은 "해외 패션 부문은 고가 브랜드를 위주로 전개하기 때문에 경기 둔화 영향을 피하기 어렵다"며 "이에 브랜드 포트폴리오를 지속적으로 확보하는 동시에 수출 및 라이선스 사업 신규 진출로 최대한 방어한다는 계획"이라고 전했다.

 

알파경제 김지현 기자(ababe1978@alphabiz.co.kr)

주요기사

[분석] 이번주 초미의 관심사 FOMC, 인하 후 긴축 강도 축소 전망
[전망] 주식 양도세 대주주 기준 50억 유지...증권업 리스크 해소 국면
[현장] "개인정보 유출 없다더니"…하루만에 말 바꾼 KT
[분석] 신정부 허니문 기간 종료, 단기 주가 변동성 대비
[심층] PG업계, 금감원 가이드라인에 반발..."본질 벗어난 규제"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