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검, 한덕수 전 총리 구속영장 청구…헌정사상 첫 사례

피플 / 김다나 기자 / 2025-08-25 08:50:35
한덕수 전 국무총리가 22일 '12·3 비상계엄' 관련 내란·외환 사건을 수사하는 조은석 특별검사팀 사무실이 마련된 서울 서초구 서울고등검찰청으로 출석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알파경제=김다나 기자] 12·3 비상계엄 관련 내란·외환 의혹을 수사하는 조은석 내란 특별검사팀이 24일 한덕수 전 국무총리에 대해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수사기관이 전·현직 국무총리를 상대로 구속영장을 청구한 것은 헌정사상 처음이다.

박지영 특검보는 이날 오후 브리핑에서 "오후 5시40분 한 전 총리에 대해 내란 우두머리 방조, 위증, 허위공문서 작성, 공용서류 손상 등의 혐의로 구속영장을 청구했다"고 밝혔다.

특검팀은 한 전 총리가 '제1의 국가기관'이자 국무회의 부의장인 국무총리로서 윤석열 전 대통령의 불법 비상계엄 선포를 막지 못하고 방조했다고 판단했다.

박 특검보는 "국무총리는 행정부 내 대통령이 임명하는 유일한 공무원으로 헌법 수호 책무를 보좌하는 제1의 국가기관"이라며 "위헌·위법한 계엄을 사전에 막을 수 있었던 최고의 헌법기관이었다"고 설명했다.

특검팀은 한 전 총리가 계엄 선포 이전 국무회의 소집을 건의한 것도 계엄을 저지하려는 목적이 아니라 절차적 합법성을 갖추기 위한 차원이었다고 분석했다. 국무회의 개의에 필요한 국무위원 정족수 11명을 채우는 데 급급했을 뿐 정상적인 심의가 이뤄지도록 하는 데는 소홀했다는 것이다.

당시 국무회의는 지난해 12월 3일 오후 10시17분부터 22분까지 약 5분 만에 끝났고, 그로부터 5분 뒤인 10시27분 비상계엄이 선포됐다. 박상우 전 국토교통부 장관 등 일부 국무위원은 대통령실에 도착하기도 전에 국무회의가 종료된 것으로 확인됐다.

한 전 총리는 최초 계엄 선포문의 법률적 결함을 보완하기 위해 사후 선포문을 작성하고 폐기한 혐의도 받는다. 계엄 이후인 지난해 12월 5일 강의구 전 대통령실 부속실장이 작성한 허위 계엄 선포 문건에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과 함께 서명한 뒤 "사후에 문서를 만든 게 알려지면 또 다른 논쟁이 발생할 수 있다"며 폐기를 지시했다는 혐의다.

특검팀은 한 전 총리가 헌법재판소와 국회 등에서 "계엄 선포문을 인지하지 못했다"고 주장한 것을 위증으로도 보고 있다. 한 전 총리는 지난 2월 국회 증언에서 "계엄 해제 국무회의가 열릴 때까지 전혀 인지하지 못했다"고 주장했지만, 지난 19일 특검 조사에서는 "윤 전 대통령으로부터 계엄 선포문을 받았다"며 기존 진술을 번복했다.

한 전 총리에게는 내란 우두머리 방조, 위증, 허위공문서 작성 및 행사, 공용서류 손상, 대통령기록물관리법 위반 등 총 6개 혐의가 적용됐다. 구속 전 피의자 심문은 26~27일경 열릴 것으로 보인다.

 

알파경제 김다나 기자(star@alphabiz.co.kr)

주요기사

류재철 LG전자 사장 “中 경쟁 위협 속…고객 이해도 높여 차별화 전략 수립할 것”
김건희특검, '이배용 매관매직' 의혹 국가교육위원회 압수수색
최태원 "기업 규모별 규제 철폐 없인 경제성장 불가능"
이찬진 금감원장 "저축은행 고위험 여신 지양"
허윤홍 GS건설 대표 “청계리버뷰자이 근로자 추락사…머리 숙여 사죄”
뉴스댓글 >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