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알파경제 유튜브) |
[알파경제=영상제작국] 국내 보험업계가 사상 처음으로 랜섬웨어 공격을 받아 금융 시스템 전반에 큰 파장이 일고 있습니다. SGI서울보증보험은 지난 14일 새벽 사이버 공격을 받아 이틀째 시스템 복구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보증보험 시장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핵심 기관의 마비는 전국 금융 서비스 중단으로 이어지는 초유의 사태를 낳았습니다.
SGI서울보증은 금융감독원, 금융보안원 등 전문기관과 합동 조사한 결과, 이번 시스템 장애 원인이 랜섬웨어 공격으로 추정된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국내 보험사가 랜섬웨어 공격을 공식적으로 인정한 첫 사례입니다. 공격은 14일 새벽 시간대에 시작된 것으로 알려졌으며, SGI 측은 시스템 이상 감지 후 즉시 대응에 나섰지만 핵심 업무 시스템이 전면 중단되는 상황에 직면했습니다.
더욱이 해커 측은 아직까지 금전적 요구를 하지 않고 있으며, 재해복구 시스템까지 오염돼 복구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금융감독원 관계자는 "시스템의 실시간 백업 자료가 오염돼 활용할 수 없고, 별도로 백업한 데이터를 활용하고 있어 완전한 복구는 쉽지 않을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SGI서울보증의 시스템 마비는 금융 생태계 전반에 걸쳐 도미노 충격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보증보험 시장에서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는 SGI의 기능이 정지되면서 시스템 리스크로 전이된 것입니다. 특히 전세자금대출 시장이 큰 타격을 입었으며, 통신 3사의 휴대폰 할부 개통 업무 또한 전면 중단됐습니다.
이에 SGI는 시중은행들과 '선 대출 후 보증' 방식을 협의하고, 이행보증보험은 각 지점에서 수기로 발급하는 등 긴급 대응에 나섰습니다. 하지만 전자금융감독규정에 따른 핵심업무 복구 목표 시간을 초과하면서 금융당국의 제재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입니다. 금융감독원은 SGI에 대한 현장점검을 진행 중이며, 복구 완료 후 검사를 통해 제재를 검토할 예정입니다.
이번 사태는 보험업계 전반의 사이버보안 인식 전환을 촉발하고 있습니다. 이명순 SGI서울보증 대표이사는 "고객과 회사의 신뢰 회복을 위해 가능한 모든 조치를 취하고 있다"며 "시스템 정상화와 함께 재발 방지를 위한 보안 체계 전면 강화에 나서겠다"고 밝혔습니다. 전문가들은 이번 사건을 계기로 국내 보험업계의 사이버보안 패러다임이 '예방 중심'에서 '복원력 중심'으로 전환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알파경제 영상제작국 (press@alphabiz.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