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혜영 기자
kay33@alphabiz.co.kr | 2025-11-09 23:43:06
[알파경제=차혜영 기자] 소상공인연합회가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제한 요구에 강력 반발하며, 실제 금지될 경우 손실보상 촉구에 나서겠다고 9일 밝혔다.
소상공인연합회는 이날 논평을 통해 "택배 사회적대화기구에 민주노총 산하 전국택배노동조합이 요구한 새벽배송 제한이 현실화되면 소상공인의 온라인 판로를 막아 돌이킬 수 없는 막대한 피해가 우려된다"고 밝혔다.
연합회는 "내수 부진으로 인한 역대급 위기 속에 온라인 판매로 겨우 활로를 모색하던 소상공인들에게 새벽배송 금지 논의는 크나큰 불안감을 넘어 생존의 위협으로 다가오고 있다"고 강조했다.
연합회는 한국로지스틱스학회 보고서를 인용해 "새벽배송과 주 7일 배송이 중단돼 택배 주문량이 약 40% 감소하면 소상공인 매출은 18조3000억원 감소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새벽배송 시장은 2015년 4000억원에서 2024년 11조8000억원 규모로 성장했다. 특히 소상공인들이 주로 유통하는 과일과 식재료 등 신선식품의 유통을 촉진하는 역할을 해왔다.
2023년 기준 쿠팡 입점 소상공인은 21만명에 달하며 거래액은 9조원으로, 전체 입점 판매자의 75%를 차지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연합회는 "많은 소상공인 셀러뿐만 아니라 새벽배송을 이용하는 소상공인들도 새벽배송이 중단되면 손해가 막심해질 것"이라며 "소상공인들이 식재료를 새벽배송으로 받아 하루 장사를 준비하는데, 새벽배송이 중단되면 새벽에 차를 몰고 식자재를 구매하러 가야 해 인력 충원이 필요한 상황으로 내몰리게 된다"고 설명했다.
연합회는 "무리한 새벽배송 금지 주장은 새벽배송으로 일상화된 소상공인 생태계와 나아가 한국 경제의 시스템을 일거에 붕괴시키겠다는 의도"라며 "노조가 상생이 아니라 가뜩이나 어려운 민생경제에 재를 뿌리겠다는 심산으로밖에 보이지 않는 처사"라고 비판했다.
연합회는 "만에 하나라도 택배 사회적대화기구와 관련된 국회의원들이 노조 측의 주장을 일방적으로 수용해 새벽배송이 금지된다면 즉각적인 강력한 항의에 나설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어 "쿠팡을 비롯한 새벽배송 온라인플랫폼 입점 소상공인들의 피해를 모아 손실보상 촉구에 나설 것을 불사할 방침"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민주노총 택배노조는 지난달 택배 사회적대화 기구 회의에서 "0시부터 오전 5시까지 초심야 배송을 제한해 노동자의 수면시간과 건강권을 최소한으로 보장하자"고 제안했다.
이에 대해 쿠팡 노조와 소비자단체들은 일할 권리와 소비자 편익을 이유로 반대 입장을 밝히면서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
[ⓒ 알파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