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 리 특파원
hoondork1977@alphabiz.co.kr | 2023-05-15 20:29:01
[알파경제=(시카고) 폴 리 특파원] 사회·정치적 이해관계를 사업에 가장 잘 반영한 기업으로 넷플릭스(NFLX.O)가 꼽혔다.
알파벳 구글(GOOGL.O) 클라우드 회장 뱃시 앳킨스는 지난 14일(현지시간) 밀켄 글로벌 컨퍼런스에서 “환상적인 제품이나 서비스 구축이 목적인지, 아니면 세상 재구성 목적인지는 기업들이 정치·사회적 문제의 중요성을 판단할 때 문제가 된다”면서 “(결정에 앞서) 기업 비즈니스의 핵심이 무엇인지 되돌아보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앳킨스는 넷플릭스를 예로 "넷플릭스 크리에이티브 팀은 한때 정치적 스펙트럼의 한쪽에 치우쳐 콘텐츠를 만들었다"고 전제한 뒤 "(정치 편향에) 넷플릭스는 시장의 절반을 잃고 있다는 것을 깨닫고 모두를 위한 콘텐츠 제작을 선언한 바 있다“고 말했다.
앳킨스는 구글 클라우드 뿐만 아니라 윈리조트와 고퍼프 이사회 멤버로 맹활약하고 있다. 앳킨스는 또 24개 이상의 기업 이사회에서 활동한 바 있는 전문 기업인으로 유명하다.
넷플릭스와 달리 세일즈포스(CRM) 내 정치·사회적 편협함의 행동주의가 회사를 취약하게 만들었던 결과에 우려를 보내기도 했다.
앳킨스는 “(세일즈포스처럼) 사회적 문제에 너무 집중하게 되면 안타깝게도 직원들을 분열시킨다”면서 “왜냐하면 정치는 본질적으로 분열을 일으키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정치적 입장이 기업 수익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에 (편향적 입장 결정에) 신중해야 한다”고 앳킨스는 강조했다.
아울러 앳킨스는 “기업에 가장 좋은 방법은 정책을 만들고, 그 정책을 회사 차원에서 말할 때 말하는 이유를 말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한 앳킨스는 “우리가 의견을 제시할 때, 우리가 참여할 때 왜 참여해야 하는지, 우리 회사와 관련이 있는지, 어떻게 하면 건설적인 방법으로 우리를 통합과 통합의 장소로 이끌 수 있는지에 대해, 실제로 귀하의 직원 기반과 리더십 팀을 통한 원칙을 제시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 알파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