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제작국
press@alphabiz.co.kr | 2024-10-11 09:16:47
[알파경제=영상제작국] 하나를 알아도 깊게 알고 싶은 여러분의 지식 탐구를 향한 목마름을 채워 줄 경제 전문가 김종효 이사의 경제 용어 풀이!
짧게! 빠르게! 간단하게! 핵심을 알려드립니다.
제3기 알파걸, 김미정 아나운서와 함께 합니다.
고정금리부채권: 안정적 투자의 핵심
- 변동성 높은 시장에서 찾는 확실한 수익원
# 고정금리부채권의 정의와 특징
· 고정금리부채권(Straight Bond 또는 Plain Vanilla Bond)은 만기까지 일정한 이자율을 지급하는 채권입니다.
· 이 채권은 투자자에게 예측 가능한 현금흐름을 제공하며, 발행자에게는 안정적인 자금조달 수단이 됩니다. 고정금리부채권은 주로 정부나 우량기업이 발행하며, 만기까지 정해진 이자(쿠폰)를 정기적으로 지급하고 만기에 원금을 상환합니다.
· 반대되는 개념으로는 변동금리부채권이 있습니다. 변동금리부채권은 시장 금리에 따라 이자율이 변동하므로 금리 상승기에 유리할 수 있지만, 예측 가능성이 낮아 안정을 추구하는 투자자에게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 고정금리부채권의 역사와 발전
· 고정금리부채권의 역사는 중세 시대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당시 정부와 왕실은 전쟁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채권을 발행했습니다.
· 근대에 들어 산업혁명과 함께 기업들도 대규모 자본 조달을 위해 채권 발행을 시작했습니다. 20세기에는 글로벌 금융시장의 발달로 국제적으로 거래되는 채권 시장이 형성되었습니다.
· 현재는 디지털화와 함께 개인투자자들도 쉽게 접근할 수 있는 투자 수단으로 자리잡았으며, ESG 채권 등 새로운 형태의 고정금리부채권도 등장하고 있습니다.
# 고정금리부채권 관련 흥미로운 사건
· 2008년 글로벌 금融위기 당시, 안전자산 선호 현상으로 미국 국채 금리가 역대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습니다. 이는 고정금리부채권의 가치가 급등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 2013년 '테이퍼 탠트럼' 사태에서는 미 연준의 양적완화 축소 발표로 채권 시장이 급격히 요동쳤습니다. 이는 금리 정책이 채권 시장에 미치는 영향력을 보여주는 대표적 사례입니다.
· 최근에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경제 불확실성 속에서 안전자산으로서 고정금리부채권의 중요성이 다시 한번 부각되었습니다.
# 고정금리부채권의 미래 전망
· 디지털화에 따라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토큰화된 채권'이 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는 거래의 효율성을 높이고 더 많은 투자자들의 참여를 유도할 것입니다.
· ESG 투자 트렌드에 맞춰 친환경, 사회적 책임, 지배구조 개선 등을 목적으로 하는 고정금리부채권의 발행이 증가할 전망입니다.
· 저금리 기조가 지속됨에 따라 고수익을 추구하는 투자자들의 관심이 회사채로 이동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에 따라 기업들의 채권 발행 조건이 다양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 알파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