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다나 기자
rosa3311@alphabiz.co.kr | 2023-07-12 20:05:04
[알파경제=김다나 기자] 금융당국이 정책서민금융 공급 규모를 1조원 늘리는 등 하반기에도 서민·취약계층 집중 지원에 나선다.
12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연간 정책서민금융 공급규모를 당초 올해 10조원에서 11조원으로 늘리고 구체적인 공급 계획을 세우는 중이다.
정책서민금융 공급규모는 2019년 8조원, 2020년 8조 9000억원, 2021년 8조 7000억원, 2022년 9조 8000억원 등으로 점차 증가했다.
올해는 사상 최대 규모일 뿐만 아니라 전년과 비교해 가장 큰 폭의 증가세를 기록할 전망이다.
민간 부문의 서민금융 위축과 이자부담 증가에 주거 관련 금융부담도 크게 증가해 정책서민금융 공급 확대를 통한 서민·취약계층 지원이 필요하다는 게 금융당국의 설명이다.
김주현 금융거래위원장도 지난 7일 취임 1주년 기자간담회에서 “연간 정책서민금융 공급규모를 10조원에서 1조원 이상 늘려 사상 최대규모로 공급해 취약계층의 금융접근성을 제고하겠다”고 말한 바 있다.
늘린 1조원을 어떻게 쓸지는 현재 검토 중이다. 금융위는 기획재정부와 수요가 많은 정책서민금융 상품들 위주로 논의해 9월 중 구체적 용처를 확정할 계획이다.
인기가 많은 정책서민금융 상품으로는 소액생계비 대출이 대표적이다. 이 상품은 소액의 자금을 구하지 못해 불법사금융으로 내몰리는 저소득·저신용 차주가 없도록 서민금융진흥원(서금원)이 연 15.9% 금리로 최대 100만원까지 대출을 내주는 상품이다.
정부지원 서민대출인 햇살론 지원도 늘어날 전망이다. 저소득·저신용 서민층을 위해 근로자햇살론은 1500만원에서 2000만원으로, 햇살론15는 1400만원에서 2000만원으로, 햇살론뱅크는2000만원에서 2500만원으로이용 한도를 올해 말까지 상향하기로 했다.
또 상품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상호금융권 중 신협만 취급했던 온라인 근로자 햇살론을 새마을금고와 수협 등으로 확대한다.
아울러 채무불이행 위험에 빠진 차주들에게 이자율 인하, 분할상환 등으로 선제적 채무조정을 실시한다. 자영업자·소상공인을 위해서는 30조원 규모로 출범한 새출발기금의 지원대상도 확대할 방침이다.
[ⓒ 알파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